핀테크 시장은 금융이 대규모 오프라인 거래를 지배하고 IT기업이 온라인 거래를 주도하는 쌍끌이 형태로 진화할 것이란 분석이다. 핀테크는 기존 금융산업이 미치지 못하는 틈새시장에서 소비자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진단이다.
22일 서울 여의도 한국증권거래소에서 ‘자본시장에서의 핀테크 생태계 조성’을 주제로 열린 자본시장 IT 콘퍼런스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핀테크 시장 접근 방식을 이 같이 분석했다.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은 “모바일 혁명을 통한 실시간, 저비용 보안연결과 빅데이터를 통한 실시간 수요자·공급자 가치분석을 통한 ‘저비용·실시간 금융’의 도래가 핀테크 핵심”이라고 정리했다. 대규모 데이터로 패턴을 인식, 예측해 공급자와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줄 것이라는 설명이다. 대출 패턴을 인식해 사기방지시스템이나 신용평가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고 SNS 활동을 분석해 맞춤형 상품 추천도 가능하다는 점을 예로 들었다.
이어 “핀테크는 전통 금융 영역인 결제·송금 단계를 지나 소액 자산관리로 진화하고 있다”며 “2020년 금융시장의 30%가 핀테크로 이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핀테크 확산은 곧 ‘금융의 모바일화’로 대변될 수 있으며 이를 완성하는 양대 플랫폼은 보안과 빅데이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도 “핀테크 혁신은 창조적 파괴를 지향하는 파괴적 혁신으로 비효율적인 금융관행으로 지친 소비자 불편을 해소하고 나아가 금융산업 전체 비용 비효율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소극적인 금융소비자의 시장 참여를 독려해 금융시장 거래효율을 제고하고 기존 금융산업이 포괄하지 못한 틈새시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해 소비자 권익을 높여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규제방향도 일정 규모 이하는 사전규제에서 사후책임으로 변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영국 300만파운드, 미국 300만달러 이하는 규제하지 않듯이 규모에 따라 개방과 보호의 적정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어 시장 주체들의 역할도 강조했다.
이민화 이사장은 “정부가 지속적인 규제완화로 신뢰를 구축하고 기업·금융권 공동협의체 구성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권은 핀테크 스타트업과 공동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기업은 차별화된 역량 확보로 틈새시장을 발굴해 글로벌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밝혔다.
이성복 연구위원도 관련 입법과 정부의 명확한 정책목표 수립을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성장사다리펀드, 모태펀드를 적극 활용하고 빅데이터 활성화와 공공데이터 선진화에 나서야 한다”며 “금융당국은 규제 효율성과 형평성을 준수하면서 비대면 금융실명 및 본인확인 규제를 합리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성민기자 s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