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고효율 단일광자원 소자 대량생산 실험실 수준서 성공

고효율 단일광자원(양자광원) 소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조용훈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양자정보기술 구현에 필수인 고효율 단일광자원 소자를 실험실 수준에서 대량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단일 광자가 높은 효율로 방출되는 모습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처리했다.
단일 광자가 높은 효율로 방출되는 모습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처리했다.

양자광원은 차세대 양자광통신이나 양자암호기술에 쓰이는 기본 요소다.

연구팀은 피라미드 모양으로 된 나노 구조체를 활용했다. 반도체 나노피라미드 꼭짓점은 양자점이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성질이 있다. 연구팀은 또 나노피라미드에 금속 필름을 얇게 증착했다. 금속필름을 증착하면 빛 역시 뾰족한 금속에 모이게 돼 양자점과 동일한 위치에 집속하게 된다.

연구팀은 은 필름 실험 결과 양자점 밝기가 10배 이상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광원 자발방출확률은 22배 정도 증가했다.

이 연구에는 KAIST에서 공수현(1저자)·김제형(2저자) 연구원과 신종화·이용희 교수, 프랑스 및 미국 UC버클리 교수진이 참여했다. 예산은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과 KAIST 기후변화연구 허브사업 지원을 받았다.

이 연구 결과는 자연과학분야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4월 1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조용훈 교수는 “이 기술은 높은 공정수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용 단일광자원 소자 제작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며 “양자정보통신을 구현하는 중요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