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가동 중인 원전은 모두 24기다. 원전 설계수명은 통상 30~40년이다. 수명 연장까지 포함해 60년을 보기도 한다.
그럼에도 언젠가는 해체 수순을 밟아야 한다. 원전 1기당 해체 비용은 4000억원에서 많게는 6000억원까지 예상한다.
원자력시설 해체 기술과 관련해 우리나라 수준은 선진국 대비 70%대 정도다.
다섯 부문별로 보면, 절단 및 환경복원기술이 미국이나 일본, 독일 대비 60% 수준이다.
제염기술은 선진국 대비 70% 수준이다. 전해연마나 화학침수 등 일부 기술은 수준이 높다. 하지만 1차계통 화학제염이나 복합유체 제염기술은 여전히 선진국과 격차가 크다.
해체준비 기술이나 폐기물 처리는 80%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금속이나 콘크리트, 우라늄 폐기물 처리기술은 선진국과 대등한 것으로 평가한다.
우리나라는 연구용 원자로 1, 2호기(트리가마크-Ⅱ,Ⅲ)와 우라늄 변환시설을 해체한 경험이 있다. 1호기는 지난 2011년 해체를 시작했다. 내년 마무리한다. 2호기는 2001년 시작해 해체됐다. 우라늄 변환시설은 2011년 부지까지 복원, 개방했다. 이 과장에서 방사능 잔류오염도 측정이나 부지 안전성 평가 기술 등은 확보했다.
그러나 이는 소규모 저방사능 시설이다. 원전처럼 대규모 고방사능 시설 해체 기술은 아직 확보하지 못했다.
해체기술이 우리보다 한발 앞서 있는 일본도 후쿠시마 원전 사고 핵심인 원자로 문제를 지금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자력시설 제염해체 기술을 개발 중이다. 복합 동전기 제염장치 등 일부는 확보했다. 이 장치는 20일내 세슘 96%, 코발트와 우라늄은 98%까지 제거할 수 있다. 지금은 연구로 및 우라늄 변환시설에서 발생한 오염 토양을 처리하기 위한 실증시설을 구축 중이다.
정부는 기계·로봇·화학 등과 원자력 시설 해체 기술을 엮어 융합연구를 추진 중이다. 원자력연과 기계연, ETRI 등 이 참여하는 원자력 시설 해체 기술 협의체도 추진할 계획이다.
문제권 한국원자력연구원 제염해체기술개발실장은 “오는 2021년까지 우리나라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100% 수준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것이 정부 의지”라며 “단기간 승부를 보는 기술이 아니라 장기 투자가 필요한 분야”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