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광다이오드(LED) 조명기구가 중소기업적합업종에서 제외된지 3개월이 지났는데도 시장은 요지부동이다. 대기업이 참여해 뒤늦게나마 시장 활성화를 주도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여전히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고 수익성이 악화된 중소기업은 사업을 접는 수순을 밟고 있다. 업계는 LED 조명·부품 시장을 살리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지난 1월 말 LED조명 분야가 중기적합업종에서 해제됐지만 시장 전반적으로 침체일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LED조명 시장의 ‘바로미터’라 할 수 있는 안전인증 건수도 지난 1월 이후 변화된 움직임이 없다. 오히려 작년 대비 신청 건수가 줄었다.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의 경우 지난 1월부터 3개월간 LED조명 평균 인증건수는 434건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평균 인증 제품은 480건이었다.
김동일 KTC 조명사업부 팀장은 “지난 3월 내부적으로 1000건 이상을 목표로 했지만 기대에 절반도 못 미치는 수준에 그쳤다”며 “다른 인증기관 역시 비슷하게 작년대비 10~15% 이상 줄어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LED 조명은 2011년 중기적합업종으로 지정되면서 대기업 시장 진출이 제한돼 왔다. LED 분야에서 칩과 패키지 등 광원과 벌브형 일부 제품만 생산해 왔다. 규제가 중소기업의 실적 개선이라는 애초 의도와는 달리 시장을 고사시킨다는 지적이 일면서 지난 1월 중기적합업종에서 제외됐다.
LED조명이 중기적합업종에서 빠지는 과정에서 구성된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의회에선 △LED조명시장 활성화 △인증 등 제도개선 △불법·불량 제품 근절 등에 적극 협력키로 했다. 또 상생을 위한 협력방안을 모색키로 했지만 아직 시동을 걸지 않고 있다. 대기업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과 글로벌 제품과 차별성 등을 이유로 좀 더 시간을 두고 추진하자는 미지근한 반응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대기업이 시장 전망이 썩 좋지 않자 LED조명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고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이런 분위기 속에서 국내 중소 부품·조명업체와의 상생을 기대하는 건 다소 무리”라고 말했다.
중소기업 역시 뚜렷한 대응책을 내놓기 어렵다. 대기업과의 협력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 일부 LED 조명 업체는 서둘러 발을 빼고 있다.
중기적합업종 해제만으로는 LED시장 활성화에 ‘역부족’이라는 게 업계 전반적인 의견이다.
업계 전문가는 “그동안 중기적합업종 지정으로 대기업만 못 들어왔을 뿐이지 이미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을 장악해 버린 상황”이라며 “보다 실질적인 상생 방안과 조명시장 활설화를 위한 근원적인 문제 해결 등 후속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
-
성현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