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통신기술(ICT)과 안전산업을 결합한 첨단 안전산업 실태 조사를 하반기 실시한다. 흩어져있는 첨단 안전산업을 체계적으로 나타내는 분류체계도 만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ICT 융합 첨단 안전산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하반기 외부 전문기관과 함께 실태 조사를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실태 조사는 범 정부 차원에서 추진 중인 안전산업 활성화 작업의 일환이다. 정부는 지난 3월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국가 안전대진단을 성장동력 창출 기회로 활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소방 웨어러블, 개인위치인식 등 안전 분야 5대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첨단 안전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첨단 안전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 시장과 기업 현황을 파악한다. 안전산업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서비스 등 여러 분야에 걸쳐있어 독립적인 분류로는 실태 파악이 어렵다. 정책 마련에 필수적인 현황 정보가 부족해 중장기 육성 방안 마련이 쉽지 않다.
산업부는 실태 조사로 국내 첨단 안전산업 시장 규모를 추정하고 기업 규모·매출, 인력 현황 등을 파악한다. 국내 안전산업 분야 기업과 연구기관이 겪는 애로사항도 취합한다. 하반기 실시해 연말까지 결과를 도출한다.
실태 조사를 토대로 첨단 안전산업 분류체계도 만든다. 정부는 안전산업을 통계청 산업분류체계에 추가하기로 하고 연구 작업을 진행 중이다. 안전 산업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관련 데이터가 부족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내년 3월까지 작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의 일환으로 첨단 안전산업도 체계화한다. CCTV와 블랙박스 등 영상안전, 생체인식을 활용한 출입통제, 개인위치 추적시스템 식으로 관련 산업을 분류한다. 분류체계가 마련되면 각 분야별로 특화된 맞춤형 육성 정책을 수립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존 안전산업을 넘어 새로운 첨단 안전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실태조사와 체계화 작업을 진행한다”며 “연내 결과물이 나오면 안전산업 활성화 정책에 반영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