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기원, T임파구로 바이러스 감염 세포 제거방법 규명

국내 연구진이 독성 T-임파구를 이용해 바이러스 감염 세포를 죽이는 방법을 찾았다.

전창덕 광주과학기술원 교수(교신저자)와 나보라 박사과정 연구원(제1저자)은 T-임파구를 바이러스 감염 세포에 부착한 뒤 안정화하는 방법으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4일 밝혔다.

광주과기원, T임파구로 바이러스 감염 세포 제거방법 규명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이를 재빠르게 감지하고 사멸하는 건강지킴이 세포가 독성 T-임파구이다. 독성 T-임파구는 면역 시냅스란 특수한 구조를 통해 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에 치명적인 독성물질을 주입해 죽이게 된다.

그러나 이 면역 시냅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찾지 못해 독성 T-임파구를 면역력 강화 및 암 치료 등에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전 교수팀은 T-임파구에서만 발현하고 액틴과 결합해 임파구 골격을 강화하는 ‘TAGLN2 단백질’을 발견해 면역 시냅스 유지 방법을 밝혀냈다.

동물실험 결과, TAGLN2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제거한 쥐는 독성 T-임파구가 바이러스 감염세포를 인식하고도 죽이지 못했다. 하지만, 이 단백질이 많이 발현된 쥐는 독성 T-임파구가 바이러스 감염세포에 강하게 붙어 세포를 잘 죽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 교수팀은 현재 TAGLN2 단백질 기능을 조절하는 펩타이드 화합물을 개발 중이다. 이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과 광주과학기술원 바이오광학영상센터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세포학 분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셀 바이올로지(Journal of Cell Biology)’ 4월 13일자에 실렸다.

전 교수는 “생체 면역반응의 기초가 되는 원천물질을 발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신종 인플루엔자와 조류 인플루엔자(AI) 등 바이러스 퇴치와 암 정복 연구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