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바이오]스마트의료 리더를 만나다<2>조재형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헬스케어 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기관과 기업이 협업하는 생태계 마련이 시급합니다. u헬스케어 상용화를 위한 제도 개선도 이뤄져야 합니다.”

[의료바이오]스마트의료 리더를 만나다<2>조재형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u헬스케어사업단에서 지난 10여년간 다양한 원격진료 서비스를 개발한 조재형 내분비내과 교수 말이다. 조 교수는 가톨릭 u헬스케어사업단장을 맡고 있다.

조 교수는 우리나라 u헬스케어 사업은 지나치게 기기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스마트폰 등 u헬스케어에 적용하는 기기 개발은 대형 전자업체 중심으로 활발히 이뤄지지만 이를 활용한 서비스는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조 교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의료계와 중소 의료전문 IT기업 등이 협력해 u헬스케어 서비스를 상용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기업도 중소 전문업체와 협력해 서비스를 상용화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는 생각이다. 조 교수는 “기기 개발은 언제든 할 수 있다”며 “u헬스케어 서비스는 무엇보다 콘텐츠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제도 개선도 요구된다. 조 교수는 “지난 15년 동안 서울성모병원 u헬스케어사업단은 당뇨환자 대상 원격진료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했지만 현재 단 한건도 상용화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상용화하지 못한 이유는 원격진료 자체가 불법으로 국내에서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10여년간 연구를 진행, 논문으로만 결과가 만들어질 뿐 상용화는 추진하지 못 했다.

서울성모병원 U헬스케어사업단은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대상으로 혈당 등을 측정, 수치를 인터넷에 올려 의사가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2000년대 개발했다. 환자와 의사가 양방향으로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당뇨병 진료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도 논문 작성에만 활용했을 뿐 상용화는 못 했다. 2011년 정부 부처와 대형병원이 참여한 u헬스케어 시범사업도 당초 기간보다 단축돼 연구로만 진행됐다.

ICT가 발달된 우리나라에는 u헬스케어 관련 우수 기업이 많다는 게 조 교수 판단이다. 그러나 이들 기업은 산업 환경과 규제로 성장 발판조차 마련하지 못한 현실이다. 조 교수는 “결국 u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이 늦어져 우리나라 국민 건강 데이터를 구글이나 애플 등 해외 기업에 제공해야 하는 날이 오게 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조 교수는 의사 출신 중 드물게 소프트웨어(SW)기업을 운영한다. 서울성모병원이 일부 투자한 ‘아이쿱’은 소셜네트워크 기반으로 지식을 공유하는 SW를 공급한다. 향후 소셜네트워크를 접목한 의료서비스도 개발한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