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수립하는 서울시 디지털정책 근간은 공유·개방·협력입니다. 시민 중심 시정 프로세스를 갖추도록 인프라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지난 3월부터 서울시 정보화전략을 총괄하는 최영훈 정보기획관 말이다. 서울시는 2016년~2020년 민선 6기 디지털정책 비전과 정보화 전략을 담는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민선 6기 디지털기본계획은 시민 중심이 핵심이다.
최 정보기획관은 “기존 서울시 정보화 전략이 시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향후 시민 중심으로 전환할 것”이라며 “디지털기본계획 수립에 앞서 시민 수요조사와 공청회 등을 실시한다”고 말했다.
시민 중심 디지털 정책 중 하나가 통신복지다. 최 정보기획관은 “4인 가족 통신비는 월 20만~25만원 정도”라며 “가족 통신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고민한다”고 전했다. 서울에서 공공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을 확대하는 게 대표 정책이다.
시민이 보유한 와이파이를 공유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최 정보기획관은 “상인 등 시민이 보유한 와이파이 보안 문제를 해결한 상태에서 다른 시민에게 개방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내달 중 북촌 상인 대상으로 실증 사업을 실시한다”고 말했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 업체와 협력한다.
다른 중요 방향은 사물인터넷(IoT)이다. 서울시는 2020년까지 전역에 IoT를 적용, 첨단 디지털도시로 변화한다. 먼저 올해 북촌 지역 대상으로 IoT 적용 실증사업을 진행한다. 최 정보기획관은 “북촌 IoT 실증사업을 진행하면서 오픈테스트베드 플랫폼도 구축할 계획”이라며 “스타트업 등 중소기업이 플랫폼을 활용, 실제 시민 서비스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테스트 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과가 있는 서비스는 서울시가 확산을 지원한다.
집단지성도 활용한다. 기존에 산발적으로 이뤄지는 개발자 커뮤니티를 정례화한다. 민간 주도로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서울시는 지원하는 형태다. 관련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위원회도 구성했다. 개발자 커뮤니티는 간담회나 포럼 등 다양한 형태로 서울시 데이터 개방 확대 등 다양한 디지털 정책을 논의한다.
최 정보기획관은 “시민 집단지성을 이용해 IT서비스를 만드는 것”이라며 “자문위원회는 개발자 의견을 들어 서울시에 전달해주는 매개 역할을 수행 한다”고 설명했다.
세계도시 CIO포럼인 ‘위고’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한다. 글로벌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사무국장에 해외 전문가를 영입한다. 실질적 성과도 창출한다. 타당성 검토에만 머물던 전자정부 수출을 본사업까지 연결하겠다는 것. 최 정보기획관은 올해 두 개 이상의 수출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시 정보시스템에 적용된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국산화도 확대한다. 미래창조과학부 ‘ICT 장비산업 신뢰성 구축 과제’ 일환으로 2018년까지 서울시 데이터센터에 국산 x86서버와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을 적용한다. 최근 홍보물관리와 사회경제통합관리시스템에 국산 서버와 DBMS를 도입했다. 최 정보기획관은 “서울시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과 적극 협조해 시민 중심 시 정책을 추진한다”고 덧붙였다.
최 정보기획관은 서울대 컴퓨터공학 학사, 포항공대 전자계산학 석사를 졸업했다. SK커뮤니케이션과 인터페이 최고기술책임자(CTO)를 거쳐 NHN넥스트 교수를 역임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