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업 성과를 높이려면 유럽에서 고안한 발전 전략인 ‘스마트 전문화’를 적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재곤 산업연구원 박사는 4일 충남 덕산 리솜스파캐슬에서 열린 ‘2015 지역사업발전 정책 포럼’에서 “산업 수명 주기가 짧아지고 산업간 경계가 불명확해지고 있다”며 “글로벌 경쟁시대를 맞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식 자원을 소수 제한된 경제활동에 집중하는 ‘스마트 전문화’를 지역사업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스마트 전문화(Smart Specialisation)는 지역 연구개발(R&D) 투자에서 나타나는 분절화와 중복을 극복하기 위해 2009년 유럽에서 나온 개념이다. 도미니크 포레이 스위스 로잔공대 교수가 주창자로 이후 EU는 ‘유럽 2020 스트래티지’에 이 개념을 적용했다.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 유망 분야와 우선순위를 설정해 자원을 우선 할당하자는 것이다.
네 가지 원칙(4C)으로 △소수 우선 순위 선정과 자원 집중 및 임계 규모 도달(Choices and Critical Mass) △기업가적 발견 과정을 통한 경쟁 우위 발굴(Competitive Advantage) △지역이 가진 것과 외부에서 가진 것을 결합해 세계적 클러스터 발전 및 다각화(Connectivity and Clusters)△민관 파트너십(Collaborative Leadership)을 강조한다.
박재곤 박사는 “스마트 전문화에서 말하는 소수 경제활동은 특정 산업이나 지역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이나 부가가치 사슬 상 새로운 활동을 의미한다”며 “스마트 전문화는 아직 진화하고 있는 개념으로 우리에게 어떤 식으로 적용할지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 지역사업 정책은 1990년대 후반 시작됐지만 정권마다 정책목표와 내용 등이 달랐다.
정책목표만 살펴봐도 지역경제 활성화(국민의 정부, 1998~2002년)에서 시작해 국가 균형발전(참여정부, 2003~2007년), 지역경쟁력 제고(이명박 정부, 2008~2012년), 주민체감 지역발전(박근혜정부, 2013~2017년) 등으로 바뀌었다.
육성 대상 지역산업 명칭도 전략산업(국민의 정부)에서 전략 및 특화산업(참여 정부), 선도·전략·연고산업(이명박 정부), 주력·협력·연고산업(박근혜 정부)으로 변경됐다.
이날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테크노파크협의회가 지역사업 주체를 모아 정보 교류와 토론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했다. 지자체 지역사업 담당자와 18개 테크노파크 원장 및 부서장, 13개 지역사업평가단장 및 팀장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덕산=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