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이버도둑을 검거하는 기술과 서비스 수출에 눈을 떴다. 사이버보안 기업 해외 진출에 조력자로 나섰다. 미래부는 4일 오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레미리트, 쿠웨이트, 카타르 4개국 주한대사와 ‘한-중동 사이버보안 간담회’를 개최했다. 오는 8일부터 이틀간 두바이 현지에서 정보보호 비즈니스 상담회도 연다. 이글루시큐리티, 유엠브이기술, 제이컴정보 등 9개 국내기업이 참여한다.
현재 연간 우리나라 정보보호 수출액은 1조5000억원 규모다. 물리보안과 정보보안을 합친 액수다. 정부는 4년 후 4조5000억원까지 수출 규모를 세 배 늘리는 목표를 제시했다. 달성이 쉽지 않아 보인다.
정보보안 서비스와 기술 해외 수출은 어렵다. 현실적으로 장벽이 존재한다. 물리적 거리의 한계는 관제부터 해킹 사고 실시간 대응까지 어렵게 만든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이 우리 보안기업이 선호하는 시장이 된 이유다. 지리적 한계를 극복한 사례도 있다. 전자정부 시스템이 수출되면서 동반 진출한 중국 동남아 중앙아시아가 대상이다. 낮은 브랜드 인지도 역시 우물 안 개구리를 만드는 장벽이다. 제품 특성상 해외 바이어는 믿을 만한 기업을 원한다. 하지만 우리 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이다.
정보보안을 차세대 수출 상품으로 육성하려는 정부 의지는 환영할 만하다. 지금부터는 ‘한국형 정보보호 모델’ 수출 확대를 위한 세부실행 계획을 잘 마련해야 한다.
전자정부 시스템, 대형통합서비스(SI)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턴 키 기반 수출이 이뤄진다면 부가가치는 배가된다. 해외 진출에 성공한 오만 포렌식 랩과 물리보안 관제 시스템에서 지렛대 효과도 노려야 한다.
해결과제도 적지 않다. 정보보안 수출 확대를 위해선 신뢰도 제고가 우선 과제다. 대·중소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 진출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한국 사이버 보안 제품의 해외 마케팅 지원도 검토 대상이다. 민관이 손잡으면 중동 수출품은 건설·플랜트를 넘어 사이버 보안으로 확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