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창업보육센터는 우리나라 대표 창업 전진기지다.
정부가 벤처창업 활성화 정책을 쏟아내기 시작한 1990년대 말부터 지금까지 국가 경제 성장 동력의 산실 역할을 해 왔다.
입주 기업 대부분이 신지식·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수도권보다 산업 여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대학 창업보육센터는 첨단 산업 중심 스타트업 요람으로 자리매김해왔다. 기업가 정신을 고취해 창업을 촉진하고 신규 기업을 보육해 생존율을 높임으로써 실질 고용 창출 기여도를 높여 지역 경제 성장 견인차 역할을 해 왔다는 평가다.
대덕연구개발특구 대표 기업인 골프존과 네오팜 등이 대전지역 창업보육센터를 거쳐갔다.
창업보육센터는 국내 벤처산업 활성화에도 큰 몫을 담당했다. 창업 활성화로 수익을 창출해 국가 경제 발전을 이끌었고 이는 고용 창출로 이어졌다.
중기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보육센터 입주 기업 총 매출액은 1조5074억원을 기록하며 국가 경제 성장 동력원으로서 역할을 톡톡히 했다. 근무하는 인력은 1만4000명에 육박한다.
중기청은 이만한 성과를 내기까지 지난 18년간 총 5000억원에 달하는 정책 예산을 쏟아부었다. 창업보육센터 건립비로 3026억원을 투입한 것을 비롯해 센터 운영비 1307억원, 창업보육센터 경쟁력 강화사업 263억원 등 총 4596억원 국가 예산을 지원했다.
하지만 대법원 판결로 창업보육 정책을 둘러싼 정부 부처 간 혼선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대학을 창조경제 원동력으로 삼아 창업을 활성화하겠다는 정부 방침이 무색하다.
한쪽에서는 창업 보육을 권장하고, 다른 한 쪽에서는 재산세를 부과해 창업 보육의지를 꺾게 만드는 형국이다.
대학에서는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부처 간 일관된 정책 기조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손홍규 연세대 교수는 “사립대라 하더라도 그간 국공립대와 마찬가지로 창업보육센터에서 기업 육성과 학생 창업 마인드 함양 등 실질적으로 공적 기능을 해 왔다”며 “정부가 창업보육센터를 경제 논리로만 보지 말고 국가 창업 전진기지로 이해해 일관된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