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첫 국가 R&D 내달 ‘시동’…5년간 260억 투입

자율주행 분야 첫 국가 연구개발(R&D) 과제가 다음 달 시작된다. 국고 260억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R&D로, 차량-도로-차량 간(V2X) 통신 기반 자율주행 도로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련 법·제도를 정비한다. 과제 결과물인 2단계 부분 자율주행기술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시연한다.

자율주행 첫 국가 R&D 내달 ‘시동’…5년간 260억 투입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스마트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개발 사업’ 연구용역 재공고를 다음 달 3일 마감한다. V2X 통신을 활용한 자율주행 도로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5년간 국비 총 257억원이 투입된다. 민간 기업이 이 사업에 투자하는 비용까지 합하면 총사업비는 320억~330억원에 육박한다. 1차연도 투입 예산은 14억4200만원이다.

다음 달 3일 끝나는 재공고는 단수 입찰에 따른 재공고로, 사실상 형식적인 절차여서 현재 입찰한 한국도로공사 주도 연구단이 사업을 수주할 가능성이 높다. 연구단은 한국도로공사를 비롯한 40여개 기관·기업이 꾸린 컨소시엄이다.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ITS 코리아), 자동차부품연구원 등 도로, 교통, 자동차 분야 대표 연구기관이 총망라됐다. 국토교통부 스마트하이웨이 사업에 참여했던 기업 다수도 참여한다.

연구단 관계자는 “현재 진행 중인 재공모는 단수 응모에 따른 것으로, 도로공사 주도 연구단에는 국내 40여개 연구기관과 기업이 모두 들어 있어 그대로 사업을 수주할 가능성이 높다”며 “도로와 법·제도 중심 R&D로, 자율주행 분야 국가 R&D로는 처음 시작되는 과제”라고 전했다.

사업은 총 4개 세부 과제로 나뉜다. 1세부 과제는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도로기반 시설 고도화 기술 개발’로, ITS코리아가 책임 기관이다. 교통정보 수집 기술 고도화, 자율주행 지원을 위한 도로 시설 개선, 보안이 확보된 V2X 시스템 개발이 골자다. 2세부 과제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운영·관리 기술 개발’은 한국교통연구원이 맡는다. 도로 운영·관리 기술과 법·제도 개선 방안을 연구한다.

실제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달리는 실증사업도 포함됐다. 자동차부품연구원이 3세부 과제 ‘자율주행자동차 연계 협력주행 실증 기술 개발’을 맡는다. 차량의 도로시설 인식 성능 향상, GPS 음영지역을 해소하는 고정밀 측위 기술 개발, 측위정보 통합 차량제어 기술 개발이 골자다.

도로공사는 4세부 과제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테스트베드 구축 및 평가 기술 개발’을 맡아 자율주행 실증 사업을 벌일 수 있는 도로를 구축한다. 실증사업 구간은 영동고속도로 신갈~호법 42㎞ 구간이 유력하다.

국토부는 당초 목표인 5년 후 2020년보다 실증사업 시점을 앞당겨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에 과제 결과물을 시연할 계획이다. 완전 자율주행은 아니지만, 총 4단계 중 2단계에 해당하는 고속도로 부분 자율주행 기술을 전 세계에 선보인다.

사업 시행으로 자율주행 분야 국가 R&D도 전환기를 맞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 분야 자율주행 R&D가 첫 단추를 끼운 셈이기 때문이다. 이와 별도로 자동차와 부품 기술 역량을 끌어올릴 산업통상자원부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 사업’도 예비타당성조사가 한창이다. 사업은 지난해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고, 올해 2월 경제성 평가가 시작됐다. 조만간 1차 검토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2995억원 예산을 투입해 자율주행차 10대 핵심부품과 5대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자율주행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도로와 법·제도 환경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며 “도로뿐만 아니라 부품과 서비스를 망라하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