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03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을 개정했다. 대학 내 별도법인 조직인 산학협력단을 설립하고 대학의 인적·지식재산기반을 활용해 산업체와 다양한 협력활동을 통해 창조경제 성장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틀을 마련했다. 대부분 대학에서 산학협력단 또는 산학협력 기능을 하는 조직을 설치하고, 기업과 다양한 형태 산학협력을 진행해왔다.
산학협력은 연구 및 기술개발 또는 인력양성, 훈련, 인적교류, 정보교환 등 다양한 목적의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산업체, 대학 등 각 참여 주체가 상호 협력하는 것이다. 목적에 따라 공동기술 및 연구개발, 교육 및 훈련, 생산지원 및 기술이전 등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박근혜정부에서도 효율적 연구개발,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 기술창업 등 연구 및 정책의 증가와 중요성이 강조된다.
그러나 10년 이상 대학과 기업의 다양한 산업협력활동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대학과 기업의 산학협력이 서로 목적을 만족하는 동반성공 형태로 원활하게 진행된다고 보기 어렵다. 또 양적성장에도 불구하고 대학 산학협력단 등 산학협력 주관 및 지원부서가 기업의 수요와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자원역량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대학과 기업이 상생하기 위한 산학협력은 서로의 수요와 요구를 반영해 성과를 이뤄내는 것이 중요하다. 첫째 주기적 기업수요 특성을 파악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다. 산학협력기업은 대학 특성에 따라 요구하는 분야가 다르다. 첨단공학 연구개발 분야가 강점인 대학과 산학협력을 하고자 하는 기업은 필요 기술 확보를 위한 공동연구를 산학협력 성공의 가장 중요분야로 생각한다. 바이오 융합이 강점인 대학과 산학협력 기업은 기술이전과 공동연구, 맞춤형 인력확보 및 재교육 등을 산학협력 성공을 위한 성공요인으로 여긴다.
지역 내 기업 수요를 주기적으로 파악해 산학협력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거의 대부분의 기업은 마케팅 및 판로지원을 산학협력 성공의 중요 분야로 여긴다.
둘째 대학과 기업의 효율적이고 효과적 산학협력을 위해 대학 산학협력관련 부서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대학 산학협력관련부서는 대학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대부분 기술이전센터, 창업보육센터, 공동연구장비이용센터, 기술지주회사, 연구진흥, 연구지원 등으로 구성됐다.
산학협력과정에서는 부서들이 업무상 충돌이 생겨 갈등을 유발하는 일이 종종 있으며 기능상 중복성 문제가 대두된다. 또 구성인력 비전문성과 단기계약에 의해 유발되는 산학협력조직 문제는 더욱 크다.
무엇보다 산학협력단 구성원 교육을 통한 역량강화가 보다 필요한 때다. 교육내용 역시 초급수준에서 고급수준까지 차별화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 이수자에게는 교내 평가와 국책사업 선정 시 가점을 주고 관련 자격증도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또 비정규직이 많은 산학협력단의 인적구성이 장기근무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도 필요하다.
매년 산학협력을 위해 정부가 투자하는 예산은 매우 크다. 우리나라 대학 연구장비와 연구는 이제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많은 한국의 공대는 세계랭킹 100위 안에 들 정도로 탁월한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업과 공유하고 대학역량과 기업의 상호 협력을 통한 성공모델 구축은 대한민국의 성공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국가 어젠다임에 틀림없다.
김경환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역량강화센터장(jinjinghua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