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0년 미국 경쟁력위원회가 발표한 제조업 경쟁력 순위에서 한국은 3위 자리에 올라섰다. 하지만 2013년 5위로 두 계단 하락했으며 오는 2018년에는 6위까지 내려앉을 것으로 예상된다. 엔저와 신흥국 추격 등 대외적인 위기와 노동인구 감소 등 내부 생산환경 변화 대응도 시급하다. 독일과 미국 일본 등 제조 선진국은 노동 기반 약화와 스마트 산업혁명을 맞아 각기 나름 방법으로 제조와 ICT융합을 통한 제조 혁신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제조업 혁신 3.0 전략 핵심 과제로 ‘스마트공장 확산’에 시동을 걸었다. ‘정보통신 미래를 생각하는 모임’에서는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공장 추진 전략과 정책에 대해 분석하고 우리 제조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변화와 혁신을 불러일으킬 방안을 모색했다.
“스마트공장은 절대로 어렵고 복잡한 개념이 아닙니다. 고도화된 첨단 공장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수작업·기초단계 공장에 딱 필요한 수준 디지털화와 스마트화를 지원해 생산성 증가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모두 포함합니다. 단계별로 차근차근 다가서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금방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진종욱 산업통상자원부 기업협력과장은 스마트공장 추진 전략 주요 정책 대상으로 소기업과 중소기업을 강조했다. 흔히 ‘스마트공장’ 하면 떠올리는 미국 테슬라나 독일 지멘스, 일본 도요타 등 아주 고도화된 공장만이 아니라 각 제조업 현장에 맞는 적정한 수준 기술 공급과 공정 변화로 전체적인 수준 향상과 확산을 촉진한다는 설명이다.
산업부는 지난해 8월경 제조혁신 3.0전략을 발표하고 핵심 의제 중 하나로 스마트공장 확산을 추진했다. 최근 미국, 독일 등 세계 각국에서 제조업이 다시 각광받는 가운데 우리도 제조업 생산성 향상, 노동력 감소 대처 등 산업 자체 경쟁력 제고가 필수로 다가왔다는 판단에서다.
스마트공장은 이론적으로 기획·설계, 생산, 유통·판매 등 전 과정을 ICT로 통합, 최소비용과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다. 사물인터넷과 가상화 기술 등을 기반으로 자동화·디지털화·실시간 연동 체계 등을 지향하지만 실질적으로 기업 상황과 환경에 따라 구현 가능한 수준이 다르다. 산업부가 IT 활용 정도와 역량에 따라 기초와 중간1, 중간2, 고도화 등 4단계로 구분한 것도 이 때문이다.
진 과장은 “우리 대기업 스마트 공장 수준은 독일 선두 기업과도 견줄 만큼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지만 문제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기술 수준차이 격차”라며 “독일은 이 차이가 적어 전체 서플라이체인에 스마트화가 잘 돼 있고 우리 중소기업은 아직도 기초 단계에 못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고 평했다. 이런 중소기업이 바로 산업부가 중심에 둔 정책대상이라는 의미다.
지난 상반기 중 300여개 기업에 스마트 공장을 보급했다. 제조혁신 3.0이 급하게 추진되면서 예산이 충분하지 않았지만 우선 민간 대기업이 조성한 동반성장 투자 기금을 활용했다.
품질 개선과 비용 절감, 납기 단축에서 성과가 나타났다. 한 열처리 업체는 전력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으로 연간 전기요금 절감액만 8000여만원에 달했고 다른 전자부품 제조업체는 수기로 작성하던 작업지시서를 PC작업으로 대체하면서 1개 모델 생산시간이 60분에서 5분으로 줄었다. 새 방식 도입에 따라 관리자와 현장 엔지니어 간 마찰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만족도가 높다는 평가다.
올해 1200개사, 내 후년에 4000개사, 2020년까지 1만개사 확산이 목표다. 수작업·기초 단계공장 수준을 끌어올리는 것과 새로 개발한 공정 기술 등으로 업그레이드 부분까지 다 포함한 수치다. 민간 중심 스마트공장 추진단으로 창구를 단일화하고 본격적인 확산을 위해 표준·인증 문제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진 과장은 “인증절차는 일종의 단계별 컨설팅 개념으로 자신의 공장 수준을 파악하고 한 단계 올라가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스스로 깨닫고 투자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라고 인증제도 마련 취지를 설명했다. 보다 빠른 스마트화 추진을 위해 대기업이 진행하는 품질 인증 등과 연계도 검토하고 있다.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 예산 누수와 내실 관리를 위해선 코디네이터 제도를 도입했다. 스마트공장 경험을 가진 인력으로 풀을 구성, 희망하는 업체 현장에서 기업 경영자와 협의해 원하는 수준으로 맞춤형 진행한다는 구상이다. 사업 진행 속도는 다소 느려질 수 있지만 현장 중심으로 추진한다는 취지다.
진 과장은 “수요 시장과 공급시장을 함께 보고 전체적인 그림을 그려나가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업종별·수준별로 기업이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모델공장을 구축해 방향을 제시하고 구축기법과 적용 기술 등을 체계화해 전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발표자 : 진종욱 산업통상자원부 기업협력과장
패널 :
왕지남 아주대학교 교수
이원환 인지에이엠티 대표
조용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
-
박정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