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충전인프라 시장 활성화, 충전요금이 관건

[이슈분석]충전인프라 시장 활성화, 충전요금이 관건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출범으로 국내 전기차 인프라 시장은 환경부 자동차환경협회, 포스코ICT와 함께 3자 경쟁구도를 갖추게 됐다. 플레이어가 많아진 만큼 종전보다 빠른 인프라 확대와 다양한 서비스 출시가 기대되는 부분이다.

최근 소비자 전기차 충전 패턴은 자가 충전에서 조금씩 외부충전으로 변화하고 있다. 지난해 4월 1000명 수준이었던 전기차 전용 전기요금 납부 고객은 올해 3월까지 2200여명으로 두 배 이상 늘었지만 차량당 전기충전량은 평균 303㎾h에서 241㎾h로 줄었다. 그만큼 자택이나 출퇴근 사업장 충전보다 외부 충전기에서 충전한 사례가 늘었다.

전기차 1회 충전 주행거리 증가, 인프라 확대 등으로 점차 전기차를 타고 밖으로 나가는 수요가 늘어나는 시점에서 본격적인 충전 시장 경쟁이 시작된 것은 시기적으로도 긍정적이다. 앞으로 3개 사업자는 충천인프라 규모와 요금 경쟁을 시작하게 된다.

충전인프라 확충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우선 관심은 충전 요금으로 쏠린다. 3개 사업자 모두 하반기부터 전기차 유료충전 시대 개막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상대방 카드를 기다리며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

주도권을 쥐고 있는 곳은 자동차환경협회다. 환경부가 기구축한 전국 300여개 충전인프라를 관리하는 만큼 충전 요금 기준점을 잡을 수 있다. 업계에서는 급속충전은 ㎾h당 500원 이하에서 요금이 책정될 것으로 중론이 모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충전요금이 낮게 형성될 때 무리한 가격경쟁이 있을 것으로 우려하지만 지금은 시장 주도권 싸움보다는 인프라 확보를 통한 시장파이 키우기가 중요한 만큼 초기시장부터 치킨게임 가능성은 낮다.

다양한 과금모델 등장 가능성도 있다. 일률적으로 ㎾당 요금을 책정하는 단순한 과금체계 이외에도 시간과 장소, 자동차 모델에 따른 다른 과금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자동차환경협회는 충전을 이유로 주차장을 점유하는 편법 이용 행태를 방지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요금을 차등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결합상품과 유사한 형태 서비스도 있다. 포스코ICT는 차량업체와 협력해 충전인프라를 구축하고 해당 업체 차량 구매자에게는 충전을 무료로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기기를 사면 일부 콘텐츠 무료 이용권을 주는 마케팅이 전기차에서도 이뤄지고 있다.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와 포스코ICT, 자동차환경협회 3개 사업자가 충전 네트워크를 경쟁적으로 구축하고 다양한 과금서비스를 선보이는 모습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구도가 정착된 이동통신 시장 경쟁과 유사하다. 그동안 전력ICT, 스마트그리드 업계가 그려오던 다양한 전력서비스 모델 등장이 전기차에서 시작한 셈이다.

업계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주문하고 있다. 민간 역할이 늘긴 했지만 그래도 아직은 환경부와 산업부 정부 역할 비중이 큰 만큼 양부처가 주도권 경쟁이 아닌 협업 자세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다. 전기차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유료 충전이 초기 시장부터 가격경쟁으로 치달으면 정작 민간은 수익성 차원에서 나서기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부처 간 협업으로 시장파이를 키울 수 있는 결정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