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칼럼]전자섬유에 미래가 있다

김주용 숭실대학교 패셔노이드 연구센터장/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교수
김주용 숭실대학교 패셔노이드 연구센터장/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교수

최근 산업 전반에 이슈화 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란 ‘착용 가능한 전지·전자기기’를 일컫는다. 스마트워치와 밴드 형태 외에도 심박수를 체크해주는 재킷, 태양열을 흡수해 휴대폰을 충전해주는 가방, 휴대폰 문자 수신여부를 알려주는 핸드백 등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화 동향은 특히 벨트와 장갑, 모자, 신발, 의류 등 다양한 일상생활용 패션 제품을 중심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착용감과 심미성이 강조되는 패션 제품은 다양한 소재 사용이 필수적이다. 전도성, 유전성, 압전성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직물(Electronic textiles)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다.

하지만 일부 제품을 제외하고는 시장에서 소비자 선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자 니즈와 눈높이에 맞는 완성도 높은 제품기획 및 개발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직물은 다른 전자소재와 차별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우선 유연성(flexibility)뿐만 아니라 옷감처럼 처지는(drapable) 드레이프성을 보이고 필름 종류와 달리 실이 교차하며 직조된 패브릭 형태를 띤다. 아울러 직물, 편물, 브레이드, 부직포와 같이 다양한 조직으로 투습 방수, 흡한 속건, 보온성, 온·냉감 촉감 등 기능성과 감성적 속성의 조절이 가능하다. 염색, 패턴, 봉제 등 생활 제품 제조 공정에도 적합하다.

이 같은 전자직물은 최근 전자소자와 일체화 패션성 등이 중요한 요소로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전자직물 대중화가 지연되는 상황이다. 주체적으로 나서야할 섬유엄체는 아직 시장에 대한 확신이 덜하고 전기·전자·ICT 관련 지식과 개발 능력 역시 부족하다는 평가다. 웨어러블 기기 완제품 업체와 같은 전방 수요 산업에서 시장 창출이 원활하지 않은 현재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일이긴 하지만 메가트렌드 관점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

해결책으로 다음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상위 공급자인 섬유업체들이 다양한 소재 기획을 통해 소비자 선호도에 부합하는 전자직물과 모듈을 지속적으로 제안하고 공급해야 한다. 완제품 업체들은 섬유 소재와 전기·전자 기기를 융합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반으로 소비자 반응에 대응해 신속하게 제품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첨단 기술에 대한 집착보다는 평범한 기술의 창의적 조합으로 소비자 수요에 맞는 제품을 심미성 있게 개발해야 한다. 타산업과의 유기적인 융합이 중요한 제품 특성상 국내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ICT 전자서유 패션 웨어러블 기업 협의체’와 같은 협업 조직을 구성하고 개발 인력 양성에 나서야 한다. 제품 개발을 대행할 수 있는 연구 집단과 협력으로 초기 개발 부담을 최소화 하는 완충 지원 체제 구축도 필요하다.

현재 글로벌 기업을 선두로 산업 전반에 웨어러블 기기와 전자섬유의 큰 바람이 일어나고 있다. 국내 30년 전통 산업인 섬유산업 인프라와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한 IT산업을 접목한 전자섬유·웨어러블 패션산업이야말로 국내기업을 세계적 기업으로 키울 수 있는 창조적 미래 산업으로 유망하다. 지금이 기회다. 이 기회를 통해 국내 섬유 패션산업이 스마트 전자섬유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길 기대한다.

김주용 숭실대학교 패셔노이드 연구센터장/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교수 jykim@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