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스마트원전, 실전 경험 全無 최대 약점

[이슈분석]스마트원전, 실전 경험 全無 최대 약점

개발 초기와 달리 현재 스마트원전은 성능과 경제성 부문에서 기대보다는 우려를 더 크게 받는다.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첫발을 뗀 지 18년이나 지났지만, 아직 실증사업 등 실제 건설을 해본 경험이 없다는 게 가장 큰 약점으로 꼽힌다.

정부는 사우디와 딜 성사로 상용화와 동시에 수출을 실현하고, 우리나라 안에서 실증하려면 수반되는 건설·보상 비용을 덜었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수주실적을 중요 기준으로 삼는 국제 플랜트 발주 시장 특성상 건설 경험 부재는 커다란 약점이다.

건설 사례가 없다 보니 성능·경제성 논란도 수그러들지 않는다. 한국전력이 스마트원전 사업을 중단한 것도 경제성 때문이다. 정부는 사우디 스마트 원전 1기당 1조원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에 최근 우리나라에서 지어지고 있는 1400㎿급 APR1400 원전 건설비는 2조~2조5000억원이다. 비용과 용량수치만 놓고 보면 건설비는 절반이지만 전력생산량은 10분의 1 이하로 떨어지는 셈이다.

설비규모가 100㎿로 작고 시장 타깃이 애매하다는 것도 문제다. 100㎿에 불과한 중소규모 발전소 건설에 원전 도입이라는 정책적 부담을 감수할 국가를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기술 부분만 감안하면 해수담수화 기능을 살려서라도 중동 시장에 수요처를 찾을 수 있겠지만, 우리와 마찬가지로 지역민심과 정책적 이슈로 크기와는 상관없이 시장 확대가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열병합과 같은 가스발전과 경쟁에서도 우위를 장담하기 어렵다. 짧은 건설기간, 친환경성, 전력 및 열 공급 등 장점을 갖추고 있는 가스발전은 최근 셰일가스와 유가인하 등 연료비 인하까지 겹치면서 최근 민간 발전시장 주류로 부상했다. 당장 전력공급이 부족해 해당 지역 전원시설 확충이 시급하다면, 빠르게 지을 수 있고 성능도 검증된 가스복합화력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미래 시장으로 기대되고 있는 개도국 분산전원 시장도 변수가 많다. 자본이 부족한 개도국은 대부분 전력 인프라 관련 사업을 국제기금 지원을 통해 추진하는 사례가 일반적이다. 국제기금 지원을 위해선 개발사업이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그 기본 조건에 원자력은 포함돼 있지 않다. 녹색기후기금을 비롯해, 아시아개발은행 등 대표적 국제기금기구는 개도국 전력 확대 사업 대상을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우디 이후 추가 스마트원전 사업을 수주한다 해도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원전업계 한 관계자는 “신뢰성이 생명인 원전에 실증사례가 없다는 점은 큰 약점”이라며 “추가 수출을 위해선 사우디 사업에서 그동안 스마트원전 업계가 강조해온 안전성과 경제성을 입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