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욕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과거 공장 자동화나 정보화 사업과 차이를 찾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마트공장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데다 명칭이 주는 어감과 현장에서 실제 적용되는 기술 간 괴리가 있기 때문이다.
업계 전문가는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공장 정책이 국내 제조업 공장의 전반적 수준을 점차 끌어올려 가는 ‘스마터(smarter)공장’에 가깝다고 분석한다. 아직까지도 공장 재고 관리에 엑셀 프로그램조차 사용하지 않고 수기로 작성하는 현장이 많아 단계별로 수준과 역량에 맞춰 ‘스마트’하게 발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중장기적으로 고도화된 첨단 스마트공장을 위한 기술개발도 병행하는 것은 물론이다.
‘공유’는 스마트공장이 기존 공장 혁신 기술과 차별화되는 대표적 요소다. 공장 자동화와 정보화가 개별 사업장에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머물렀다면 스마트공장은 산업용 사물인터넷 등 외부 네트워크 연결로 다른 사업장은 물론이고 다른 지역, 제조업 과정 앞단과 뒷단에 있는 차등 단계까지 유기적으로 데이터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국제적인 표준화 활동과 연동성 등이 중요한 이유다. 보안 문제 역시 꾸준히 안고 가야할 또 다른 핵심 과제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
-
박정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