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동북아 원전 200기…“안전 공조체제 마련돼야”

26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동북아 원자력안전협력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원자력안전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26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동북아 원자력안전협력 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이 원자력안전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한·중·일 3국을 중심으로 확대되는 동북아 지역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안전 공조체제 마련 요구가 높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26일 프레스센터에서 ‘동북아 원자력안전 협력 심포지엄’을 열고 원전 안전성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동북아 원자력안전협의체’ 구축 관련, 우리나라 원자력계 역량을 결집하고 구체적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리나라 원자력 관련 기관이 다수 참여한 행사에서 참석자는 한·중·일 3국이 동북아 포함 여타 지역 원자력 안전 이슈에 긴밀히 협력하고, 유사시 공동 대응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중·일 3국이 현재 보유한 원전은 100여기, 2030년이 되면 동북아지역에 200여기 원전이 운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부터라도 안전 관련 공통 이슈에 맞대응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공동 안전기준 마련 필요성이 제기됐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인접국가 간 원전 안전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지만, 반대로 원전 지속과 확대 또한 불가피한 만큼 국가 간 원전 안전 투명성을 공유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다.

기조연설에 나선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 수석은 “원전 안전 신뢰확보를 위해선 해당 국가는 물론이고 주변국 간에도 상호 신뢰가 구축돼야 한다”며 “국가 간 다자협력체를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근모 전 과학기술처 장관과 박윤원 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한·중·일 3국이 협력시스템을 가동해 원전 안전 모범지역으로 거듭나고 나아가 세계 원자력계 리더십을 발휘해 나가야 한다고 공히 지적했다. 이밖에 후쿠시마를 교훈삼아 인접국가 간 안전 관련 정보교류를 활발히 하고 관련 연구개발 협력체계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김호성 원자력문화재단 이사장은 “지금까지 고도성장 배경에는 원전을 통한 안정적 전력공급이 있었다”며 “한·중·일 원자력 협력이 동북아 평화의 ‘뉴-클리어(New-Clear)’ 로드를 여는 매개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