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LED 시장, 불경기 속 ‘공공’ 시장이 성장 견인...출혈경쟁 부작용 우려

선진국에 비해 개화가 늦은 국내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시장이 공공 수요를 기반으로 점차 활기를 띠고 있다. LED 보급 확대에 동참하는 지자체가 늘어나면서 LED 업계에도 점차 훈풍이 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업체 간 경쟁 심화로 출혈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최근 정부는 LED 조명 보급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그동안 10개 지자체에 시범 적용했던 민간자금 이용 LED 보급사업을 내년부터 전면 확대한다.

제주도와 SK텔레콤이 진행한 ‘가로등&지능형 디밍시스템’ 설치 사업, 서울시와 우리은행 에스피씨(SPC) 연계 시청사·보안등 교체 사업, 광주시와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가로등 교체 사업 등이 올해 대표적이다.

서울시는 오는 2018년까지 서울 공공조명 120만개를 LED로 교체하는 작업에 나서 업계 이목을 집중시켰다.

정부는 내년에 관련 사업을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지자체 도로 조명 LED보급 사업도 추진한다. 이달까지 지자체별 수요를 접수한 뒤 평가를 거쳐 내년 초부터 진행한다.

지난해까지는 내부 조명 교체 사업이 주를 이뤘다. 최근에는 고속도로 터널등, 보행자 가로등과 같은 실외등 교체작업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굵직한 LED 교체 사업이 연달아 추진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LED 업계도 분주해 졌다. 제품군 확대는 물론이고 제품 품질과 안정성 강화 등에 적극적이다.

LED 조달시장 참여 기업 수도 지난 2011년 183개에서 지난해 324개로 4년간 56.4% 급증했다. 그동안 참여가 제한됐던 대기업도 조달시장 참여 기회를 엿보고 있다. 올해 초 LED조명이 중소기업적합업종에서 제외되면서 민수시장 참여는 가능해졌지만 아직 조달시장에는 진입할 수 없다.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LED조명이 중소기업 간 경쟁품목으로 지정돼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 말 경쟁품목 지정기간이 공식 종료되고 재지정되지 않는다면 대기업의 공공시장 진입은 자유로워진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조달시장이 확대되면서 이 분야 시장 진출을 노리는 업체도 늘어나 경쟁이 치열해졌다”며 “특히 후발업체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하거나 규격을 위반한 제품을 공급하는 등 출혈 경쟁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됨에 따라 방지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현희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