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긴급구난전화(e콜)` 표준화 시동…4년간 62억 투입

정부가 자동차 긴급구난전화(e콜) 표준화에 나선다. 판매후시장(애프터마켓·AM)용 e콜 단말기와 표준 플랫폼을 만들고 표준 인증 체계까지 구축한다. 세계적으로 의무화·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는 차세대 구난 체계 안착이 기대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차량 ICT 기반 긴급구난체계(e-Call) 표준 및 차량 단말기 개발’ 사업을 시작한다.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주관 기관으로 선정했고, 이의 신청 검토가 끝나는 대로 과제를 시작하는 일정이다. 약 4년간 62억원 정부 출연금을 투입한다. 1차연도 예산은 15억8500만원으로 책정됐다.

e콜은 차량 내 설치된 통신 단말기로 교통사고 상황을 콜센터에 전달해 빠른 사고 처리를 돕는 서비스다. 운전자가 의식을 잃은 상황에서도 원격으로 경찰이나 구조대 출동을 요청할 수 있어 사망 예방 효과가 크다. 자동으로 차량 상태 및 사고 상황을 파악하는 인지 기술, 이를 전파하는 통신 기술이 핵심으로 꼽힌다.

미래부 관계자는 “ETRI를 주관기관을 선정했고, 이의 신청 기간이 끝나면 확정이 된다”며 “주관기관을 확정하고 협약을 맺는 시간을 감안하면 10월쯤 과제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단은 e콜 시스템 표준과 AM용 단말기 시제품을 개발한다. 우선 단말기와 e콜 센터 간 통신 프로토콜과 보안 규격을 정한다. 센서를 활용한 사고 상황 감지 기술, 운행 및 사고 정보를 수집·전송하는 통합 플랫폼을 개발한다. 사고판단 알고리듬과 이를 이용한 시범 서비스 모델도 제시한다. AM용 단말기는 차량 출고 후 소비자가 별도 장착할 수 있는 e콜 장치다.

단말기는 스마트폰을 비롯해 2종 이상 타입이 개발될 예정이다. 사고 판단 정확도는 99% 이상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과제를 통해 3건 이상 국제 표준을 제안하고, 6건 이상 국내 표준을 제정한다.

향후 시장에 나올 단말기와 서비스 성능·표준을 검증할 체계도 구축한다. 단말기 자체, 단말기와 콜센터 연동 성능시험 표준을 개발한다. 실제 성능 측정에 활용할 핵심성능지표(KPI)도 제시한다.

업계는 우리나라 e콜 확산과 표준·의무화가 빨라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e콜은 사망사고 예방 효과가 뛰어나 세계적으로 표준·의무화가 추진되고 있다. 유럽은 2018년부터 역내 모든 신차에 e콜 시스템 장착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러시아와 미국도 e콜 의무화가 추진된다.

우리나라는 현대·기아자동차와 BMW 코리아가 e콜 서비스를 시행 중이지만 국가 차원 표준·의무화 체계는 없다. e콜 표준이 제정되면 자동차 업계 도입이 촉진되는 한편, 이미 출고된 차량의 e콜 시스템 장착도 용이해질 전망이다.

<차량 ICT 기반 e콜 표준 및 차량 단말기 개발 목표>


차량 ICT 기반 e콜 표준 및 차량 단말기 개발 목표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