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화학사고 대응기술 개발에 뭉칫돈…21년 선진국 85% 수준 목표

정부와 화학업계가 휴대형 화학물질 측정 장치와 누출된 화학물질을 신속하게 포집·저장·처리하는 기술 개발에 나섰다. ‘환경유해물질 관리와 환경 피해 구제 강화’를 기치로 화학물질 사고를 적극적으로 예방·대처하기 위한 조치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화학사고로 인한 인명·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1년까지 정부 예산 880억원과 민자 233억원을 투입해 ‘화학사고 대응 환경기술 개발사업’을 진행한다고 7일 밝혔다. 화학사고 전 과정에 걸쳐 14개 세부 기술을 개발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세부기술 중 현장적용 시급성, 기술개발 파급 효과 등을 고려해 우선 순위와 활용도가 높은 환경위험지도 기술과 휴대형 측정장치 등 4개 과제를 올해 추진 과제로 선정했다.

2020년 완성을 목표로 추진하는 ‘환경위험지도 기술’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화학물질별 특성에 따라 화학사고 피해 확산 범위를 예측해 사고발생 위험지역에 대한 대비를 강화할 수 있다. 사고대비 물질 중 필수물질 34종 이상 식별·측정이 가능한 ‘휴대형 다매체·다종 측정장치’를 개발해 각종 화학사고 발생시 현장 위험성을 신속히 파악해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이동식 응급 배기기술’도 개발해 작업장 내 누출된 유해화학물질(독성가스)의 신속한 포집·처리로 작업장 외부 누출을 최소화할 계획이며, 유해화학 사고물질 특성에 적합한 최적 방제제와 차량탑재형 방제제 살포장치 등 ‘최적방제 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올해 개발을 시작하는 4개 과제 외에 유해화학물질 오염 폐기물 발생량 산정과 적정 처리기술 개발, 화학사고 후 인체영향평가 기술 개발 등 10개 과제도 2021년까지 순차적으로 개발한다.

환경부는 이번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화학사고 관리단계별 전 과정에서 핵심기술을 확보, 2021년까지 선진국 대비 85% 이상 기술 수준을 갖출 계획이다. 기술개발 결과물을 현장에 100%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화학물질관리법과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 시행과도 연계할 방침이다.

김용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기술개발을 통해 화학사고 대응 관련 다양한 정책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환경 분야에서 국민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을 충실히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유해화학물질 규모는 2002년 2444만톤에서 2013년 4735만톤으로 배 가까이 늘었다. 매년 300여종 이상 화학물질이 우리나라에 새로 들어오는 등 화학물질 사용은 꾸준히 늘고 있다. 우리나라 화학물질 관련 사고도 2007년 16건에서 지난해 104건으로 증가했다.


화학사고 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2015년 추진 4개 과제


[자료:환경부]

정부, 화학사고 대응기술 개발에 뭉칫돈…21년 선진국 85% 수준 목표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