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국방 무기 부품 생산까지 확대…단종된 부품 문제 해결

3차원(3D) 프린팅 기술이 국방 무기체계 부품 생산에 본격 적용된다. 3D프린팅이 소형 모형물 제작과 제조·의료 분야 등 적용에서 국방 무기체계까지 확대됐다.

공군이 F-15K 고압터빈(HPT) 부품에 3D 프린팅을 적용한 사례
공군이 F-15K 고압터빈(HPT) 부품에 3D 프린팅을 적용한 사례

국방부는 해외조달 수리부속 중 구매가 어려운 부품을 3D프린팅으로 생산하는 지원체계를 갖췄다고 5일 밝혔다. 무기체계 부품은 대부분 다품종 소량 품목이고 오래된 무기는 단종된 사례가 많아 군은 정비 등에 어려움을 겪었다. 3D프린팅 기술로 부품을 생산하면 조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국방부는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부품 생산 기반 마련을 위해 지난 5월 미래창조과학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49명 대상으로 3D프린팅 기초·고급 이론부터 제작생산 전 과정 전문교육을 실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충청권 제조혁신지원센터에서 국방·로봇 분야 3D프린팅산업 지원안을 마련, 7월부터 실시하고 있다. 2019년 6월까지 진행한다.

육·공군 부품단종과 조달애로 품목 시범 생산성과 분석도 실시한다. 2017년부터 군내 3D 프린팅 활용기반을 구축해 개발된 기법을 방산 중소기업에 제공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3D프린팅으로 부품 생산이 이뤄지면 부품 단종 등으로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군의 정비여건과 장비 가동률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방경영 효율화와 민군협력 활성화도 가능하다.

3D프린팅 기술 활용은 공군이 앞서 있다. 공군은 2012년 민군 협업으로 KF-16, F-15K 엔진정비에 필요한 수리부속을 3D 금속프린팅으로 재생해 활용했다. 비행안전성에 문제가 없고 연간 7억원 예산을 절감했다. 조달기간도 단축해 수리부속 확보와 운영에도 효과가 있다.

육군은 3D프린팅 시스템 도입, 제작기법 사전 기술습득 및 조달애로품목 사전 선정 등을 진행했다. 이달부터 육군종합정비창에서 3D프린팅을 활용, 단종부품 생산 시범사업을 한다. 국방부 관계자는 “창조국방 구현을 위해 국방 3D프린팅 전문교육 시행과 3D프린팅 기술개발 등 관련 기반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

[그림]공군·육군의 3D 프린팅 기술 활용 사례

자료:국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