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수요자원시장 개설 1년-태양광대여, 에너지자립섬, 온배수열사업은?

[이슈분석]수요자원시장 개설 1년-태양광대여, 에너지자립섬, 온배수열사업은?

16일 한국남부발전과 부산시는 ‘발전소 온배수 회수에너지 및 ICT를 활용한 빌딩양식 산업화 과제’를 공동 진행한다고 밝혔다.

부산천연가스발전본부에서 전기를 생산한 뒤 버려지는 온배수를 활용하고자 ICT를 접목한 빌딩양식 에너지공급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산업화하는 것이 목표다. 핵심은 열저장장치를 이용한 열택배시스템이다. 발전소 온배수 열에너지를 멀리 떨어진 양식장까지 보내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는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발전소 온배수 활용 사업 일환이다.

우리나라 발전사가 배출하는 온배수는 지난해 기준 연간 563억톤에 이른다. 모두 사용하면 석유 4300만톤을 절약할 수 있는 양이다. 지난해 활용한 양은 고작 2억톤에도 못 미쳤다.

정부는 에너지·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탁월한 이 사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발전소 대다수가 농어촌에 인접해 있어 기반을 조성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다.

최근 발전사도 앞다퉈 사업에 나서면서 활기를 띤다. 한국중부발전 보령화력본부는 연간 방출하는 46억톤 온배수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농가에 공급하는 프로젝트 실증에 나섰다. 온실 난방에너지로 활용하고 발전 과정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는 작물 광합성을 돕는 데 쓰인다. 지난 8월에는 69억원을 투입해 온배수를 이용한 ‘수산종묘 배양장’도 신축했다. 향후 10년간 치어구입 비용 약 20억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남부발전 남제주화력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온배수열을 시설원예에 활용해 귤·망고 재배를 돕고 있으며 양식장으로 적용 범위를 넓혔다.

태양광 대여 사업도 대박이 났다. 이달 현재 태양광대여 사업 참여를 신청한 가구는 9000여가구에 달한다. 정부 올해 목표 5000가구(단독주택 2500가구, 공동주택 2500가구)를 훌쩍 넘어선 수치다. 올해 시작한 공동주택 부문 수요가 많았다. 계획보다 3000여가구가 추가로 신청해 공간적 제약으로 수요가 부진할 것이라는 당초 우려를 날렸다. 지난해 2000가구 목표 달성을 감안하면 2년째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다. 전문가는 사용자와 대여사업자가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제시한 것이 성공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소비자가 태양광 대여사업자에게 대여료를 내고 태양광 발전설비를 빌려쓴다. 단독주택은 기본 7년간 매월 7만원씩, 공동주택은 7년간 매월 4500∼7600원을 낸다. 소비자는 초기 투자비를 들이지 않고도 태양광 설비를 마련해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다. 사업 초기 정부가 참여대상 가구 기준을 월평균 전력사용량 500㎾h 이상으로 묶어 실수요 대상이 많지 않았지만 350㎾h로 완화해 접근성을 높이면서 보급이 늘었다.

한 달에 600㎾h 전력을 쓰는 단독주택이 사업에 참여하면 내야 하는 전기요금이 21만6000원에서 12만4000원으로 뚝 떨어졌다. 올해 공동주택으로 범위가 넓어지면서 엘리베이터, 가로등 등 공용전기 사용 요금 절감 목적으로 사업에 참여한 아파트도 늘고 있다.

안형근 건국대 교수는 “태양광대여 사업자와 고객 각각 투자금 회수, 설비 구입이라는 부담을 안고 있다”면서 “대여 사업은 이 같은 부담을 덜어주는 사업으로 태양광 시장이 단독 자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017년까지 2만4500곳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보급할 계획인데 현재 추세를 감안하면 목표를 초과할 가능성이 충분하다.

에너지 자립섬 사업은 지난달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자립섬 조성사업’ 착공식이 열리며 첫 단추를 끼웠다. 디젤발전기 두 기에 의존하는 울릉도 전력 공급 체계를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으로 교체하는 것이 핵심이다.

2017년까지 태양광·풍력·소수력 발전설비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너지관리시스템(EMS)을 도입해 울릉도 전체 전력 3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2020년까지 기저발전소 역할을 할 지열과 연료전지발전소를 완공해 울릉도 소비 전력 100%를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정부는 우리나라 아홉 개섬에 에너지자립섬 모델을 적용한다. 해외 공적개발원조(ODA)사업과도 연계할 방침이다. 울릉도는 실현 가능성을 검증받는 무대다. 태양광·풍력발전 부지 선정과 관련한 현실적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하는지가 관건이라는 지적이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