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소프트웨어(SW)가 글로벌 기업 제품과 품질·성능 경쟁에서 우위를 점했다.
내년 1월 공공기관 SW 벤치마크테스트(BMT) 의무화가 국내 SW기업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BMT 제도 보완책이 뒷받침되면 국내 기업이 내년 공공 시장에서 새 전기를 마련할 전망이다.
17일 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 따르면 올해 공공기관 SW 입찰에서 실시된 두 차례 국산과 외산 BMT 결과 국내 제품이 모두 1위를 차지했다. 2007년 이후 현재까지 진행된 총 17회 국산·외산 경쟁 BMT를 통틀어도 국내 제품이 전체 중 12회(70.6%) 1위를 기록했다. 품질·성능 평가 결과가 곧 수주로 이어졌다. 국내 제품이 외산 SW와 가격뿐만 아니라 성능에서도 겨뤄볼 만하다는 분석이다.
올해 들어 공공기관 두 곳이 검색엔진과 고속프린팅 솔루션 입찰을 실시했다. 두 입찰 모두 미국·일본 등 외국계 IT기업이 참여했다. BMT 결과 검색엔진 입찰에서는 국내 중소기업, 고속프린팅 솔루션에서는 국내 대기업이 각각 수위로 사업권을 거머쥐었다.
외산 제품은 국내 공공기관 IT인프라 환경 최적화 유연성에서 국산 제품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DB관리시스템(DBMS) 시장 선도 업체 A사는 지난 BMT에서 제품 설치에 실패해 탈락하기도 했다.
업계 전문가는 “BMT 결과만으로 국산이 외산 SW보다 우수하다고 단정 짓기 어렵다”면서도 “우려와 달리 성능 경쟁에서 결코 뒤지지 않는다는 것만으로도 고무적”이라고 평했다. 국내 SW는 가격 경쟁력을 제외하면 글로벌 기업 제품에 뒤진다는 인식이 많았다.
공공기관 SW 입찰은 BMT가 드물었다. 앞으로는 BMT가 필수 항목으로 자리 잡는다. 국내 기업이 공공 시장에서 성능으로 새 승부수를 걸 수 있다.
정부는 공공기관 SW 구매 시 BMT를 의무화한 SW산업진흥법 개정안을 내년 1월 1일 시행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달 초 지침제정안을 행정 예고했다. 연말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확정한다. 시행에 맞춰 수행기관을 지정한다.
BMT가 의무화되면 공공 시장 경쟁 기준이 가격에서 품질·성능으로 바뀐다. 공공기관이 단순히 가격이 낮다는 이유로 특정 SW를 선택하기 어려워진다. SW기업은 출혈에 가까운 가격경쟁을 지양하고 제품 성능을 높이는 연구개발(R&D)에 힘써야 한다. 실력 있는 기업이 수주액을 늘리면 수익을 R&D에 재투자하는 선순환구조가 기대된다.
역효과 차단은 정부 과제다. 제도 허점을 보완해 SW기업이 품질 향상에 매진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야 한다.
정부는 BMT 비용을 원칙적으로 발주기관이 부담하도록 했으나 상호 협의 시 사업자와 분담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BMT에 목적을 두고 무임승차하는 기업이 생길 수 있는 탓이다.
발주기관이 주도권을 쥐는 입찰 특성상 BMT 비용이 SW사업자에 전가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분담비율 가이드라인이 없다. 발주기관이 ‘갑’ 횡포를 부리면 사업자가 부담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 SW BMT 총비용은 편차가 있지만 2000만~3000만원에 달한다.
미래부 관계자는 “SW 종류와 규모에 따라 BMT 여건이 달라 별도로 강제 기준을 마련하기는 어렵다”며 “국가기관 비용 부담 원칙을 적극 홍보하고 감시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표] 공공기관 SW 입찰 BMT 수행 결과 (단위:건)
자료: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