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2일 전북도청에는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송하진 전북 지사, 이남호 전북대 총장, 김차동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이재성 전북대기술지주회사 대표, 이영미 원광대 산학협력단장 등 지역산업 전문가 250여명이 모였다. 평소 한자리에서 좀처럼 만나기 힘든 오피니언 리더가 대거 도청을 찾았다. 이유는 간단하다. 변신을 꾀하고 있는 전북특구에 거는 기대감 때문이다.
전북연구개발특구가 체질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그동안 뒤처졌던 산업화 꿈을 하나씩 실현하고 있다.
지난 8월 미래창조과학부 특구지정 후 첨단소재기술과 농생명 분야에서 변화 조짐이 두드러졌다. 3개월 만이다. 전북혁신도시에 농생명 관련 공공기관이 대거 이전하면서 기대효과도 높다.
올해 치열한 경쟁을 뚫고 선정된 SW융합클러스터와 연계한다면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전북특구는 대전, 광주, 대구, 부산에 이어 전국 다섯 번째로 설립됐다. 2010년과 2013년 특구지정에 도전했지만 연거푸 고배를 마셨다. 전북은 지난해 농생명융합 소재부품산업과 정읍, 완주, 전주에 거점지구와 사업화촉진지구를 구축, 재도전에 나섰다. 삼수 끝에 전북은 지난해 7월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서 첨단산업 분야 디딤돌을 마련했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지난 8월 전북특구준비단을 구성하면서 산업발전 토대를 마련했다. 전국에 있는 연구개발특구 가운데 가장 막내인 만큼 한발 더 뛰어야 한다는 절박감 때문이다.
준비단은 임창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기획조정본부장을 중심으로 송한욱 TF팀장과 김재열 완주시 사무관, 김현우 전주시 계장, 김미숙 정읍시 주무관 등 5명의 정예 멤버로 구성됐다. 기술사업화 분야 전문가 그룹과 행정, 예산, 산업단지 분야 베테랑 공무원이 힘을 모은 셈이다. 전국 특구 가운데 준비 단계부터 지자체 공무원이 파견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특구진흥재단 창립멤버인 송 팀장은 기술사업화 토대마련과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에 힘을 쏟았다. 텅 빈 사무실 구축부터 유관기관, 기업현장 방문 등 특구현장을 누비며 ‘특구 홍보맨’을 자처했다.
성과도 이어지고 있다. 불과 3개월 사이에 연구소기업 세 곳이 문을 열었다.
신드론과 카이바이오텍, 금강ENG 3개 기업이 지난달 연구소기업을 지정 받았다. 타 지역 특구가 연구소기업을 지정받는 데 2년가량 걸린 점을 감안하면 전북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르다는 것이 공통된 견해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도 도비 2억원을 마련해 힘을 실어줬다.
준비단과 전북도는 전북특구 내 기술사업화 서비스 플랫폼 및 산학연 교류협력네트워킹에 360억원을 투입, 전북테크비즈센터를 오는 2019년까지 구축한다. 오는 2025년에는 전북연구개발특구에 신규 기업 300여개가 집적화될 것으로 보인다. 7조원 생산유발효과와 2만명 고요창출도 기대된다.
전주와 완주, 정읍 3대 지역에 조성된 전북특구는 전주 첨단산업단지 사업화촉진지구와 완주테크노밸리 융·복합소재부품, 정읍 첨단산단 농생명 융합거점지구에 조성된다. 내년 정식 출범을 앞두고 조직개편, 전문인력 보강 등은 풀어야 할 숙제다.
전북은 특구 지정으로 각종 세제혜택과 연구소기업, 창업 및 첨단기술기업 육성, 신기술사업화 등을 집중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됐다. 매년 100억원 이상 기술사업화 자금지원으로 기업유치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
전북은 국립연구소 4개와 정부출연연구소 6개 등 10개의 국공립연구기관을 보유 중이다. 2010년 지정된 대적극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연구시설로 R&D 투자액과 특허등록은 타 지역에 비해 높다.
임창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전북특구준비단장은 “농생명과 소재부품산업 메카로 주목받고 있는 전북연구개발특구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지역산업과 일자리창출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처럼 지역이 보유한 우수기술이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