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연-서울대, 나노입자 이용한 망막질환 치료법 개발

나노입자(노란색)가 망막혈관(빨간색)에서 유리된 VEGF(파란색)에 작용하는 기전을 모식화한 그림. 나노리서치 지난해 6월호 표지 사진이기도 하다.
나노입자(노란색)가 망막혈관(빨간색)에서 유리된 VEGF(파란색)에 작용하는 기전을 모식화한 그림. 나노리서치 지난해 6월호 표지 사진이기도 하다.

무기 나노입자를 이용한 망막질환 치료법이 개발됐다. 상용화에는 4~5년 걸릴 전망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신용현)은 이태걸 나노바이오측정센터장과 김정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이 실명 원인인 혈관증식성 망막병증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망막병증은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로 인해 새로 만들어지는 ‘신생혈관’이 주 원인이다.

공동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나노입자로 된 금(Au)과 규소(Si)를 망막병증이 있는 안구에 투여한 결과 VEGF가 제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신체가 나노입자를 이물질로 판단해 입자 주변을 특이 단백질로 균일하게 코팅하고 이는 다시 VEGF와 결합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동안 의학계에서는 나노입자를 진단용 영상 보조수단이나 약물을 전달하는 운송체로만 활용해 왔다.

금 나노입자가 망막에서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모습.
금 나노입자가 망막에서 신생혈관을 억제하는 모습.

공동 연구팀은 나노입자 종류보다는 ‘크기’에 따라 VEGF에 대한 부착 정도와 치료효과에 차이가 있다는 것도 밝혀냈다. 나노 입자 크기가 100㎚일때 보다 20㎚ 일 때 치료효과가 더 컸다.

이태걸 나노바이오측정센터장은 “화학 공정이 들어가지 않은 안전한 치료법”이라며 “앞으로 각종 암 및 류마티즘 등 혈관 생성과 연관된 질병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훈 서울대 교수는 “현재까지는 질환 동물 모델에서 효과를 확인한 상태”라며 “추후 전임상시험과 임상시험을 거쳐 신약시판 허가 단계를 밟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