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무크, "정부지원사업에 중소 이러닝기업도 포함해야, 대학도 발전”

교육부 무크(MOOC, 온라인대학공개강좌) 지원 사업이 일부 대학만 참여 가능해 스마트교육 환경변화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무크 발전을 위해 기술력을 가진 전문 이러닝기업 참여가 필요하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스마트러닝포럼, 한국이러닝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스마트러닝 포럼 세미나가 17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섬유센터에서 열렸다.

해외는 코세라를 필두로 스탠퍼드, 하버드, MIT 등이 참여한 무크 플랫폼이 자리 잡아 강좌 이수 시 학점을 인정하거나 학위 발급을 통한 수익사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나일주 서울대 교수는 “무크는 최근 대학이 해외에서도 돈을 버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실험의 장으로 변모하고 있다”며 “무크 수강생이 늘어날수록 이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운영부담도 증가하는데, 경비를 누가 어떻게 조달하느냐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도 교육부 주도로 지난 10월 14일 10개 대학 27개 강좌를 오픈하면서 한국형 무크(K-MOOC)가 출범됐다. 두 달여간 누적 수강신청 인원이 4만5000명을 넘겼지만, 20~30대 수도권 거주자가 주로 듣는다는 통계가 나왔다.

정부 예산만 30억원이 투입됐지만, 학습관리시스템이나 모바일 접근성 등 보완할 부분이 많다는 지적이다.

나 교수는 “현재 무크는 인터넷이 가능한 곳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로만 수강할 수 있는데, 모바일로 볼 수 있는 접근성 강화 조치도 필요하다”며 “고등교육은 산업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만큼 이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전했다.

예를 들어 최근 수요가 급증하는 엔지니어링 고급인력 양성 문제 등에서도 무크 등을 활용해 재직자나 원거리 수강생을 교육할 수 있다.

무크를 산업 기술과 연계한 이른바 ‘MOOK-T’로 육성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차남주 첨단 대표는 무크를 통해 제조기술 수요가 있는 신흥국을 대상으로 산업기술교육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정부·제조업·이러닝업계가 협력하는 구도다.

일반 대학만 참여 가능한 현재 무크 지원 사업도 중소 이러닝기업 참여가 막혀 있어 새 틀을 짜야한다는 주장이다. 기획부터 비즈니스모델을 함께 만드는 방식이다.

김희배 가톨릭관동대 교수는 “중소 이러닝기업은 무크로 시장이 줄어들 위험이 존재하고, 대학도 무크를 잘 활용하려면 더욱 발전된 이러닝 솔루션이 필요하다”며 “지식자산을 보유한 대학이 기술력 있는 중소 이러닝기업과 무크 설계단계부터 함께 기획하면 서비스 질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한국형 무크(K-MOOC) 월별 통계 현황


출처: 2015 3차 스마트러닝포럼 세미나

한국형 무크, "정부지원사업에 중소 이러닝기업도 포함해야, 대학도 발전”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