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전국 13개 지역서 새해 ‘스타트’

스마트그리드사업 확산에 속도가 붙는다. 전국 13개 지역 사업추진 컨소시엄별 세부 계획이 수립되고, 주요 인프라 보급도 진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개 컨소시엄 주관사, 13개 지방자치단체,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스마트그리드 확산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산업부와 8개 컨소시엄 주관사,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은 확산사업에 속도를 내 전국에 걸친 스마트그리드 생태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지역별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지역별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자료: 산업통상자원부)

확산사업은 에너지신산업 4대 분야(에너지 프로슈머, 저탄소 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 공정) 핵심 플랫폼으로서 스마트그리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힘을 받았다. 정부는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전국 13개 지역에 걸쳐 새해부터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을 전개한다.

제주도를 비롯해 다양한 시범·실증사업으로 검증 받은 사업모델을 실제 환경(주택가, 공단, 상업지구 등)에 구현한다. 8개 컨소시엄은 한국전력, SK텔레콤, KT, 포스코ICT, 현대오토에버, LS산전, 수완에너지, 짐코이며 13개 지역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충남, 경북, 전북, 제주, 광산구(광주), 창원(경남), 강릉·동해(강원), 남양주(경기)다.

산업부는 사업 지역에 인프라를 보급하고, 주민 수요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스마트그리드 모델을 구축한다. 에너지 사용과 공급 흐름을 효율화하고, 소비자 편익을 높이는 다양한 전력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 지능형 원격검침인프라(AMI),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이 깔린다.

주택, 빌딩, 상가, 공장의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접목해 효율적 전력 소비를 유도한다. 태양광 등 분산전원과 ESS로 생산한 전력을 가격이 비싼 시간대에 사용해 전력사용량과 비용을 5~10% 절감할 계획이다.

13개 지역을 2018년까지 스마트그리드 거점으로 만들고, 2030년까지 에너지 프로슈머를 활성화 해 소비자 맞춤형 전력 공급시스템을 완성할 계획이다. 산업부, 참여기업, 지자체가 정기적으로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발전방안을 토론하는 ‘스마트그리드 확산 정책협의회’도 구성해 운영한다.

소규모 전력과 남는 전력을 팔 수 있는 에너지프로슈머 시장 개설, 계절별·시간대별 차등 요금제 확대 적용 등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제도 개선으로 스마트그리드가 조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할 계획이다.

문재도 산업부 2차관은 “스마트그리드는 에너지프로슈머, 저탄소 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 공정이라는 에너지신산업 4대 분야를 모두 관통하는 연결고리”라며 “컨소시엄 주관사와 지자체가 과감한 투자와 지역주민 홍보에 나서 스마트그리드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