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후변화 피해 최소화 위해 `제2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수립

정부는 기후변화 피해를 최소화하고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2017년부터 이상기후 정보를 1개월 단위 장기 정보제공으로 확대하고 한국형 기후시나리오를 개발해 미래 기후변화 전망자료 정확성을 높인다. 또 2016년까지 적응산업 육성 로드맵을 마련해 기후변화 적응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6∼2017)’을 녹색성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 기후변화 피해 최소화 위해 `제2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수립

2차 적응대책은 △과학적 위험관리 △안전한 사회건설 △산업계 경쟁력 확보 △지속가능한 자연자원관리 등 4대 정책부문과 이행 기반 마련에 따른 20개 정책과제로 구성했다.

정부는 과학적인 기후변화 위험관리 체계를 마련해 더욱 정확한 기후변화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2017년에는 이상고온(폭염)·이상저온(한파) 등 이상기후 정보를 1개월 단위 장기 정보제공으로 확대하고 2019년 발사 예정인 정지궤도 복합 위성을 활용해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예보 정확성을 높이기로 했다. 2020년에는 한국형 기후시나리오를 개발해 미래 기후변화 전망자료 정확성을 높이고 건강·농업·물·해양·생태계 등 여러 부문의 취약성을 통합 평가하는 모형을 개발·활용할 계획이다. 부처 기후변화 정보를 연계하고 통합하는 기초자료(DB)를 2017년까지 구축해 재난과 기후영향 등에 따른 수요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다.

기후변화에 안전한 사회 건설을 위해 기후변화에 취약한 계층과 지역을 우선 관리하고 건강과 재난 관리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2017년부터 고령자·야외근로자 등 기후변화 취약계층 DB를 구축해 바우처·방문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기상재해에 대응할 권역별 응급의료센터를 2016년까지 41개로 확충할 예정이다.

기후변화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산업계 기후적응 역량을 높이는 등 경쟁력을 강화한다. 심한 가뭄에 견디는 농산물 품종 등을 2020년까지 200종 개발하고 제조업체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업과 산업단지 별로 적응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내년까지 적응산업 육성 로드맵을 마련해 기후변화 적응 기술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발굴해 해외 기후변화 적응시장에 우리나라 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4대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2017년부터 권역별 대표 적응사업을 발굴해 추진하고 지역별로 민관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2차 대책이 확정됨에 따라 관련 부처는 시행계획을 내년 3월까지, 광역지자체는 내년 말까지 광역 적응 대책을 수립한다.

정은해 환경부 기후변화협력과장은 “최근 모든 국가의 적응계획 제출과 정보공유 사항이 담긴 파리협정이 타결되는 등 적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이번 2차 적응대책을 내실 있게 추진해 기후변화 적응을 새로운 기회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