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강박증 환자가 세로토닌 시스템 이상이 정상화될 때까지 일정 기간 약물치료를 지속해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김 교수팀은 건강한 일반인 12명과 약물치료 중인 강박증 환자 12명 뇌 양전자단층촬영(PET)을 비교했다. 시간에 따른 개인별 PET 자료와 약물 농도 변화를 동시에 분석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세로토닌과 동일하게 나타났던 약물효과를 제거하고 세로토닌 수용체 밀도만 계산했다. 약물치료로 증상이 호전됐던 강박증 환자에서 여전히 세로토닌 수용체 밀도가 낮은 것을 확인했다. 강박증 원인인 세로토닌 시스템 이상은 교정되지 않았다.
강박증은 특정 대상을 반복적으로 확인하거나 정해진 규칙에 따라 행동하는 심리적 압박감이다. 주원인은 신경계통 호르몬인 세로토닌 시스템 이상으로 보고된다. 이를 교정하는 약물치료가 핵심이다. 다만 경과를 확인하는 PET로 세로토닌과 약물을 구분할 수 없어 세로토닌 수용체 밀도를 측정하지 못한다. 호전되더라도 완치 판정을 내릴 수 없다.
이번 연구결과로 강박증 환자가 약물치료로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세로토닌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 약물치료를 지속해야 한다는 뇌의학적 근거가 마련됐다.
김의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이전까지 불가능했던 강박증 약물 치료의 한계점을 풀어낸 보고”라며 “해당 연구 결과는 강박증뿐만 아니라 우울증, 불안장애와 같은 다양한 정신건강학적 질환에서도 심도있는 뇌연구를 가능케 했다”고 말했다.
교수팀은 영국 런던 킹스칼리지 정신건강연구소 연구팀과 협업했다. 연구결과는 정신의약분야 세계적인 학술지 ‘정신의학저널’ 최근호에 발표됐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
-
정용철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