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무인기(드론) 기술 세계 3위 진입 추진…"2025년 10% 점유 목표"

정부가 세계 3위 무인기 강국 진입을 목표로 내걸었다. 무인기 관련기업을 2015년 70개에서 2025년 650개로 늘리기로 했다. 일자리도 2000명에서 4만5000명으로, 산업 매출도 6000억원에서 15조원으로 확대한다는 포부다. 2025년에는 세계시장 10%를 점유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다부처 공동사업을 기획해 무인항공기 융합시스템 구축과 운용에 나선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무인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무인기.

미래창조과학부는 24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미래사회, 무인기 신시장 태동을 위한 산업 및 서비스 발굴’이라는 주제로 산학연 협력정책포럼을 개최했다. 무인기 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산업통상자원부, 국토해양부의 무인기 정책을 소개했다.

주요 내용은 △미래성장동력 분야 무인기 정책 소개 △무인기와 미래성장동력 연계 융합발전방안(항공우주연구원) △무인기와 ICT, 에너지·소재, 인공지능(AI) 연계방안 △종합토론과 무인기 융합클러스터 분과대표 회의 등으로 구성됐다.

미래부는 차세대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신시장 창출에 앞장선다. 산업부는 무인기 기반조성과 관련해 ‘국가 종합비행성능 시험장’ 확충에 국토부 등과 공동으로 2019년까지 395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미래성장동력을 마련할 ‘고속-수직이착륙 무인기 추진단’도 국가 무인기 개발사업 전반을 통합 추진할 ‘무인기 글로벌리더 추진단’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산업·공공 활용 활성화를 위한 무인기 융합클러스터를 조성한다. 2017년 9월까지 완료를 목표로 산업과 공공용 무인기 관련 융합연구주제 발굴과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참여규모는 총 64개기관, 전문가 109명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측은 “국내 무인기 개발기술이 1위인 미국보다 대체적으로 3~5년 뒤처져 있다”며 “이를 1~3년으로 줄여나가면 세계 3위로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무인기 활성화를 위한 선행 해결 과제로는 △비행체 안정성 △운용 안정성 △무인기 분류 세분화 △무인기 전용 주파수 할당 △비행허가와 규제완화 △조종교육과 면허제도 △무인기 보험도입 △관련부처 임무 명확화 △기술개발 중복성 배제 △활용처별 수요 적극창출 등이 꼽힌다. 이 중 규제는 여전히 투자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주진호 항우연 항공연구본부장은 “국가 공역 내 3차원(고도·지역별) 주파수 운용계획 수립, 비행계획과 사용 주파수 연동 비행허가 시스템 구축, 저고도 공역 내 무인기 비행허가 신속처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인기 시장은 선진국 과점에서 경쟁구도로 변화하고 있다. 항우연은 2014년 미국(54%)과 유럽(15%) 과점 체제에서 2023년에는 미국 지배력 약화(42%)와 아시아태평양 시장(30%)이 급부상할 것으로 예측했다. 후발기술 강국도 무인기 시장진입 기회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중국은 이미 급성장하고 있다. 민수용 소형 무인기를 제작 중이며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13년에는 시장규모가 이미 세계 3위로 올라섰다.

주진호 본부장은 “국내 기술의 향후 경쟁력 확보를 위해 소형 드론 주요 부품 제작과 설계, 충돌감지와 회피 등 핵심 기술개발이 요구된다”며 “무인기의 미래는 개인용 스마트 자율 비행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