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공항 마비 사태 재발 막는다…다부처사업으로 ICT 기반 복합재난대응 시스템 구축

정부는 앞으로 5년 동안 300억원을 투입,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복합재난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관계자가 백두산 화산 폭발 시뮬레이션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브이월드’에 적용, 피해 상황을 예측하고 있다. 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정부는 앞으로 5년 동안 300억원을 투입,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복합재난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관계자가 백두산 화산 폭발 시뮬레이션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브이월드’에 적용, 피해 상황을 예측하고 있다. 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정부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복합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한다. 5년 동안 300억원을 투입, 지난 1월 제주공항 마비 사태 같은 복합재난을 사전에 예측한다. ▶관련기사 5면

지난 1월 제주지역 폭설과 한파로 제주공항 항공기 운항이 통제됐다
지난 1월 제주지역 폭설과 한파로 제주공항 항공기 운항이 통제됐다

국민안전처, 미래창조과학부, 국토교통부는 ‘빅데이터 기반 대형 복합재난 피해 예측과 예방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자연재해가 사회재난으로 이어지는 대형 복합재난에 대비한 대규모 다부처 연구사업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내에 추진 계획을 확정짓고 내년 초 시작한다. 1단계로 3년 동안은 복합재난 대응 프레임워크를 만든다. 2단계로 2년간 대응체계 운영과 평가 기술을 확보한다.

제주공항 마비 사태 재발 막는다…다부처사업으로 ICT 기반 복합재난대응 시스템 구축

안전처는 복합재난 피해 예측·평가 프레임워크를 만든다. 피해 확산 차단·저감 기술도 개발한다. 개별 재난이 사회 시설에 미치는 연관관계를 분석한다. 복합재난 발생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재난 상황 모니터링과 피해예측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한다.

제주공항 마비 사태 재발 막는다…다부처사업으로 ICT 기반 복합재난대응 시스템 구축

미래부는 복합재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활용으로 표준 기술을 제정한다. 대규모 재난정보 마스터데이터관리(MDM)로 데이터를 선별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에 기반을 두고 자원을 통합, 맞춤형 데이터 융합·가공 자동화 기술을 개발한다.

제주공항 마비 사태 재발 막는다…다부처사업으로 ICT 기반 복합재난대응 시스템 구축

국토부는 복합재난 분야 공간정보 체계를 갖춘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브이월드’를 활용한다. 유관 부처 간 공간정보 연계·통합 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과 연동한다.

자연 재해는 사회 시설과 연계돼 복합 대형화된다. 일본은 2011년 도호쿠 지방 앞바다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겪었다. 경제적 피해가 48조엔에 이른다. 올해 1월 제주공항은 폭설로 사흘 동안 비행기 800편이 결항, 6만명이 피해를 보았다.

제주공항 마비 사태 재발 막는다…다부처사업으로 ICT 기반 복합재난대응 시스템 구축

그동안 재난 대응 기술 개발은 부처별로 이뤄졌다. 하지만 대형 복합재난체계 대응에는 한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복합재난 예측 기술 수준은 미국 대비 66.7%에 불과했다. 대형 복합재난 탐지·모니터링·예측·관리 등 기술과 시스템은 미흡했다.

기획 연구를 담당한 김태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는 “다부처 복합재난 대응 체계 구축 사업으로 기존의 한계를 극복할 계획”이라면서 “빅데이터와 공간정보 등 ICT를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가 나오면 기상재해뿐만 아니라 화재·감염병 등 사회 재난에 선제 대응이 기대된다.

<다부처 복합재난대응 사업 추진 계획(자료:국민안전처)>


다부처 복합재난대응 사업 추진 계획(자료:국민안전처)


신혜권 SW/IT서비스 전문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