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공기업, 中企협력사 동반수출지로 亞·중동시장 압축

발전업계가 아시아·중동 전력시장 개척에 속도를 낸다. 아프리카나 남미처럼 새롭게 기반을 다져야하는 신규 진출 지역보다는 이미 수출실적과 현지 네트워크를 가진 시장에서 자생력을 높이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인도네시아 전기전력 및 신재생에너지전에 마련된 한전 홍보관 전경.
인도네시아 전기전력 및 신재생에너지전에 마련된 한전 홍보관 전경.

9일 5개 발전공기업에 따르면 올해 중소협력사와 공동 수출 개척지로 인도, 베트남, 태국, 이란, 아랍에미리트(UAE) 등 아시아와 중동지역을 꼽았다. 발전공기업은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단독 혹은 두 개 이상 회사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협력 회사와 함께 전시행사 참가나 시장개척단을 파견할 계획이다.

남동발전과 중부발전은 5월 베트남 환경에너지산업전을, 서부발전과 남부발전은 6월 태국 신재생에너지전시회에 각각 참가할 예정이다. 개별적으로는 인도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그 동안 발전플랜트 주요 수출 타깃이었던 곳에 시장개척단도 파견할 계획을 잡고 있다.

이번 동반 수출시장 개척에서 특이한 점은 그 동안 또 다른 신흥국으로 평가 받았던 남미와 아프리카 시장 관련 일정이 없어지거나 크게 축소됐다는 점이다. 아시아와 중동을 제외한 지역은 유럽과 미국 정도로 선진 전력시장이다. 선진 시장과 개발도상국을 함께 공략하는 투트랙 전략 중 우선 공략대상 개발도상국을 아시아와 중동으로 압축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수출 사업 불확실성을 낮추고 실질 성과 달성을 위해 포트폴리오 확대보다는 역량 집중으로 전략을 선회한 셈이다. 그동안 유망 신흥국으로 평가받던 브라질과 아프리카 국가가 경제상황이 안 좋아지면서 중소 협력사 해당국 진출 의지가 많이 꺾인 것도 배경으로 작용했다. 굳이 어려운 시장에 새로운 판로를 뚫기보다는 이미 영업망이 갖춰져 있고, 구매·설치 경험이 있는 바이어를 상대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발전공기업은 아시아와 중동시장을 중심으로 현지 법인을 세우는가 하면 지역 공략을 위한 협의체 구성 등 다각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다. 중부발전은 인도네시아에 해외전문무역상사를 설립해 현지 자재 판매나 조달 채널을 구축했다. 다음 달에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두 번째 무역상사 개소를 준비 중이다.

서부발전은 이란 경제제재 해제와 함께 중소 협력사들과 현지 사무소를 설립하기도 했다. 8월과 9월께 별도 이란 수출상담회도 진행할 계획이다.

한 발전공기업 관계자는 “올해 중소협력사 동반 수출시장은 남미,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보다 기존 역량이 있던 지역을 강화하는 것이 특징적 변화”라며 “정부 차원은 물론이고 협력사들도 관심을 보이는 이란과 아시아시장에서 실질적 성과를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부발전이 2032년까지 운영할 예정인 인도네시아 탄중자티 화력발전소.
중부발전이 2032년까지 운영할 예정인 인도네시아 탄중자티 화력발전소.

<2016년 발전공기업 공동 해외전시 참가 계획(자료:각사 취합)>


2016년 발전공기업 공동 해외전시 참가 계획(자료:각사 취합)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