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증권업계 자기자본 기가시대 개막

대우증권이 미래에셋증권에 인수된 데 이어 올해 마지막 `대어`인 현대증권의 매각이 막바지에 다다랐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증권업이 이제 `군웅이 할거하는 전국시대`를 넘어 `기가시대`로 진입했다”고 입을 모았다. 빅 플레이어 여럿이 등장해 본격 활동하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점에서다. 현대증권이 누구 품으로 들어가느냐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시장은 이미 기가시대를 꿈꾸고 있다.

[이슈분석]증권업계 자기자본 기가시대 개막

국내 증권사는 이전까지 영업점을 활용한 소매 증권 중개 업무에만 관심을 쏟았다. 2010년만 해도 자기자본 3조원이 넘는 증권사는 한 곳도 없었다. 당시만 해도 2조원 넘는 회사도 대우증권, 삼성증권, 현대증권, 우리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5곳에 그쳤다.

하지만 자본시장법 통과 이후 변화가 시작됐다. 국내 증권사에도 투자은행(IB) 업무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한 해 뒤인 2011년 대우증권, 우리투자증권, 삼성증권, 현대증권이 모두 자기자본을 3조원대로 늘렸다. 올해는 미래에셋이 대우증권을 인수하면서 자기자본 7조원 시대에 첫 진입했다. 현대증권 합병 건이 성사되면 4조원 이상 증권사 3곳 탄생이 유력하다.

증권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규모가 늘어난 만큼 덩치에 맞는 사업을 찾아 시장에서 승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 글로벌 IB가 추구하는 사업 모델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IB 자산관리·신흥시장 겨냥 사업 나서

최근 글로벌 IB가 눈을 돌리는 곳은 부유층 자산관리 시장이다.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대표한다.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는 헤지펀드를 상대로 돈을 빌려주거나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주식 중개를 해 주는 클라이언트 서비스가 주력이었다. 2009년만 해도 각사 수익의 72.4%와 56.1%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4년 클라이언트 서비스 사업 비중은 각각 44.1%와 49%로 줄었다. 부가 영역에 그친 자기자본 투자와 자산운용 사업이 커진 덕분이다.

글로벌 IB가 IB분야에서 눈여겨보는 곳은 아시아를 비롯한 신흥시장이다. 세계 IB 수익 가운데 북미가 차지하는 비중이 54.8%로 높지만 아시아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시아·태평양시장은 2014년 IB 수수료 규모가 전년 대비 17.6% 성장했다. 북미가 전년 대비 2.5% 성장에 그치고 일본이 10.6% 역성장을 기록한 것과 대비된다.

부유층 자산관리 영역도 IB의 새 먹거리다. 세계 부유층 총자산 규모는 56조4000억달러에 이른다. 전년 대비 7.2% 증가했다. 2009년 이후 연평균 7.7% 성장세다.

보스턴컨설팅그룹에 따르면 세계 금융자산 규모는 앞으로 5년 동안 6.2%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골드만삭스가 2012년 이후 드와이트, 도이치에셋&웰스매니지먼트, 임프린트캐피털 등을 인수한 것도 이 일환이란 분석이다.

IB 간 인수합병(M&A)도 성과를 내고 있다. 노무라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리먼브러더스 아태·유럽·중동법인을 인수, 5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한 데 이어 미국·유럽 IB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중국내 1위 중신증권과 2위 하이퉁증권도 각각 2013년 CISA와 2014년 포르투갈 최대 IB인 BESI를 인수하면서 덩치를 키웠다.

현대증권 매각으로 자기자본 4조원 이상 국내 증권사가 세 곳으로 늘지만 여전히 가야 할 길이 멀다. 골드막삭스 자기자본은 2014년 말 기준 839억달러(113조원)에 이른다. 국내 증권사를 다 합친 금액 41조원의 2.5배에 달한다. 자회사가 332개, 임직원은 3만6000명이다.

외국계 증권사 지점을 제외하고도 34개 증권사가 있는 것과 대조된다. 이 가운데 영업점을 10개 이상 보유한 곳만 해도 21곳에 이른다. 하지만 이 가운데 자기자본 1조원 이상 증권사는 11개사에 그친다. 좁은 시장에 사업자가 넘쳐난다. 합병으로 덩치가 커진 증권사도 기존 IB 영역이 아닌 자사만의 색깔을 가진 틈새시장을 찾을 수밖에 없다.

◇기가 IB, 시대 변화 맞는 IT 전략 짜야

로이드 블랭크페인 골드만삭스 대표는 “우리는 정보기술(IT) 기업”이라고 강조하면서 전통의 IB 모델에서 벗어난 근본 혁신을 꾀하겠다고 공공연히 밝혔다.

로보어드바이저와 크라우드펀딩 등 개인간전자상거래(P2P) 금융이 본격화됐다는 점에서 핀테크가 미래 사회에 변화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저성장 고령화시대에 맞춘 전략이다.

실제로 이 회사 프로그래머와 엔지니어 인력은 1만1000명으로 전체 인력의 30%에 이른다.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크게 앞선다. 신규 사업 기회와 위험관리, 비용절감 등에서 IT 활용을 모색하고 있다.

골드막삭스는 우선 그동안 부유층에 집중해 온 소매영업을 일반고객으로 확대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등을 통해 개인과 소기업을 상대로 온라인 대출을 중개한다. IT를 활용한 전략이다.

벤처투자자로 적극 변신한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골드만삭스는 스퀘어(지급결제), 켄쇼(빅데이터), 서클(비트코인) 등 핀테크기업뿐만 아니라 우버와 배달의민족에 이르기까지 성장성 높은 스타트업에 전 방위 투자 손길을 뻗쳤다,

UBS도 아시아 중산층을 상대로 모바일 앱 기반의 맞춤형 자산관리서비스 `UBS 액티브 아시아`를 내놨다. 국내 역시 핀테크가 자본시장 안방에 들어섰다. 크라우드펀딩이 올해부터 본격화됐으며, 로보어드바이저업체가 저렴한 수수료와 대중 자산관리 기법을 모델로 시장에 진입했다. 특히 올해 하반기에는 비대면 일임 계약까지 허용돼 온라인으로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증권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단순히 자기자본으로만 승부해선 글로벌 IB와 붙어도 승산이 없다”면서 “덩치가 커진 증권사도 국내 강점인 IT를 활용한 새 금융전략을 제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경민 코스닥 전문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