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존엄과 가치를 구현하는 것이 개인정보보호입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를 기업이나 기관 등이 똑바로 활용하고 깔끔하게 처리하게 도와 국민이 편안하게 살도록 할 것입니다.”
제 3대 개인정보보호위원장에 위촉된 이홍섭 위원장은 향후 운영 포부를 밝혔다. 개인정보보호 전문가가 위원장에 위촉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위원장은 정보보안과 개인정보보호 분야에서 36년을 일했다. 이 위원장은 1980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보안 부분 연구원으로 시작해 1996년 정보보호진흥원(현 인터넷진흥원)으로 옮긴 후 정보보호진흥원장을 역임했다. 이후 금융분쟁조정위원회 위원, 정보보호최고책임자 협의회 회장을 지냈다. 2011년부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1기 위원으로 참여하다 위원장에 올랐다. 이미 그가 참여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회의만도 100여건이 넘는다.
“보안과 개인정보보호는 유사한 듯 보이지만 실제로 다른 점이 많습니다. 정보보안은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필요한 기틀입니다. 정보보안 토양이 잘 마련돼야 개인정보보호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이 위원장은 정보보호진흥원장으로 일하며 인터넷 보안 정책을 담당했다. 정보보호최고책임자협의회장을 8년간 하면서 실제 기업이 겪는 보안 문제 대응과 제도화에 노력했다.
“개인정보보호가 신기술과 서비스 발전에 장애가 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건 오해입니다. 오히려 개인정보보호는 신서비스 등장을 촉진하는 기반입니다.”
그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신기술 등장으로 개인정보 활용 요구가 증가했다”며 “개인정보 경제 가치도 함께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경제 가치 상승으로 해킹이나 랜섬웨어 등 침해사고 역시 늘었다.
이 위원장은 “침해사고가 늘면 국민 불안감이 커져 신기술을 활용한 서비스가 외면받는다”며 “개인정보보호로 국민의 자기정보결정권이 보장되면 새 서비스를 믿고 이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국민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면서 기업의 자유로운 활동과 신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기반을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여전히 미흡한 개인정보보호 실천을 주문했다.
“2015년도 개인정보보호실태조사를 보면 공공기관 6.5%만이 개인정보보호 전담부서를 두고 있습니다. 민간은 2.4%에 불과합니다. 개인정보보호 전담자 전문성은 물론이고 조직 내에서 지위도 낮아 업무 수행에 어려움도 많습니다.”
이 위원장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기업 영업이나 신서비스를 발목 잡는 곳이 아니다”라며 “개인정보를 적법하게 활용하게 도와 인권을 보호한다”고 강조했다.
김인순 보안 전문기자 ins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