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된 이를 치료하는 임플란트는 종류가 워낙 많아 환자입장에서 선택에 대한 고민도 하게 된다.
일반인들의 기준에서 종류를 크게 수입산과 국내산으로 나누는 경우가 많지만 치과의사들의 입장에서는 형태와 표면처리방식 등에 대한 분류로 세분화 한다.
김선영 수플란트치과병원 대표원장에 따르면 과거에는 치과 임플란트를 위한 여러 가지 형태, 재질, 시술방법 등이 연구됐지만 티타늄의 골유착현상 발표 이후 대부분 티타늄 재질로 통일됐다.
또 임상 실험 결과 매끄러운(smooth)표면보다 거친(rough)표면의 골유착현상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밝혀진 이후 대부분 거친 표면을 기본으로 제작되고 있다. 임플란트는 크게 TPS방식, Double Acid Etched방식, RBM방식, SLA방식으로 구분된다.
김선영 원장은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면 제조사는 높은 효율성을 이용해 홍보하지만 식립체의 효율을 파악할 수 있는 이들은 치과의사”라며 “식립 후 문제점이 발생되면 사용을 하지 않게 돼 제작사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골유착효율이 높은 제품을 만드는 연구를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해 재료를 결정하고 치료계획을 새우고 환자는 의사의 선택을 믿고 최대한 협조해야 치료 성공률이 높다”고 조언했다.
박기태 기자 (pk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