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온뉴스 이주희 기자] 영화 ‘부산행’은 가족을 지키기 위해 좀비와 사투를 벌이는 이야기를 우리 현실에 빗댄, 여러 장르가 혼합된 작품이다. 연상호 감독은 이 모든 것을 조화롭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눈물이 나올 만큼 박진감과 몰입감을 선사한다. 사회적 메시지를 대중적으로 아름답게 풀어내며 한국영화를 발전시켰다.
다양한 사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부산으로 떠나는 열차에 탑승한다. 하지만 열차가 출발하는 순간 바이러스에 감염된 한 소녀(심은경 분)가 열차에 올라타고, 그는 승객들에게 좀비 바이러스를 옮긴다. 바깥세상마저 좀비떼로 가득한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석우(공유 분)ㆍ상화(마동석 분)ㆍ영국(최우식 분)은 기차에 함께 탔던 가족ㆍ친구들과 헤어진다. 이들은 가족이 있는 앞 칸까지, 그리고 최종 목적지인 부산까지 가기 위해 좀비와 혈투를 벌인다.
본격 좀비물이라고 예고한 것처럼 ‘부산행’에는 좀비가 우르르 쏟아진다. 특수분장과 CG로 완성된 좀비떼는 자연스러운 비주얼을 선사하며 우리나라 최초 좀비 블록버스터로서 전혀 부족함 없는 작품을 만들어냈다.
좀비가 나오지만, 비현실적인 영화라고는 감히 말할 수 없다. 전국에서 폭동이 벌어졌다는 뉴스는 “정부 대응으로 안정되고 있으니 악성 유언비어에 동요하지 말라. 지금은 정부를 믿어야 할 때다. 국민들 안전에는 이상이 없다”라고 말한다. 이런 방송 앞에서 어떻게 우리의 현실이 떠오르지 않을 수 있을까.
사건이 벌어지는 열차 안에는 가족을 지키려고 하는 사람도 있고, 자신만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지나친 현실에 그저 슬퍼하는 사람도, 분노하는 사람도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처럼 말이다. 그리고 감염자가 없는 앞 칸에는 진희(안소희 분)가 좀비보다 더 무서워하는 것이 있다. 바로 ‘이기심’이다. 최악의 상황에서 죽음이 만든 공포심은 인간을 밑바닥까지 이기적으로 만든다. 사람들은 본능 그 이하의 모습을 드러내며 서로를 죽음으로 내몬다.
매 칸마다 등장하는 다양한 캐릭터들은 관객의 호기심을 불러 모은다. 정유미는 용감하고 당당한 임산부 캐릭터를 맡았다. 영화가 끝날 때쯤엔 그가 왜 임산부여야만 했는지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정유미의 남편으로 나오는 마동석은 특유의 코믹스러움으로 어떤 대사든 생생하게 살리며 관객들을 웃음을 책임진다.
또한 ‘부산행’은 김수안의 연기가 다했다고 해도 될 정도로 아역 김수안의 오열신은 엄청나다. 당돌한 여고생 역을 맡은 안소희와 야구부 소년을 연기한 최우식은 순수한 커플을 예쁘게 그려냈고, 악역을 맡은 김의성도 인상 깊다. 이외에도 분량이 적은 조연들 또한 영화에 큰 보탬이 됐다. 특히 두 할머니 이야기는 마음을 아프게 만들고, 열차의 첫 감염자로 나온 심은경 역시 상상하지 못한 연기를 보여준다.
애니메이션으로 전 세계에서 인정받았던 연상호 감독의 첫 실사 영화다. 영화가 끝나고도 감정이 추슬러지지 않을 정도로 강한 인상을 남기기에, 곧 개봉할 ‘부산행’의 프리퀄인 애니메이션 ‘서울역’과 다음에 그가 할 작품이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전자신문 엔터온뉴스 이주희 기자 leejh@entero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