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사내유보금 명칭 `창출자본`으로 바꾸자"

한경연 "사내유보금 명칭 `창출자본`으로 바꾸자"

사내유보금 명칭을 바꿔 사내유보금을 둘러싼 불필요한 오해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27일 전경련회관에서 `사내유보금의 올바른 의미와 새로운 용어 모색` 세미나를 열고 사내유보금 대신 `창출자본`으로 용어를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사내유보금이란 명칭이 `기업 내부에 쌓아두는 돈`이라는 인상이 강해 기업이 낸 수익을 회사에 쌓아놓고만 있다는 오해와 논쟁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사내유보금이란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을 합한 개념이다. 이익잉여금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에서 배당 후 남은 금액이고, 자본잉여금은 자본거래에서 생긴 차익을 뜻한다.

권태신 한경연 원장은 “사내유보금은 기업소득 환류 세제와 법인세 논의에서 가장 큰 근거가 되지만 실제와 달리 기업이 내부에 쌓아놓은 돈으로 인식된다”며 “실상을 반영한 새로운 용어를 모색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발표자로 나선 김윤경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사내유보금은 투자 위한 자본조달 방식일 뿐 기업 투자 척도가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김 부연구위원은 “사내유보란 자금조달 방식 원천 중 하나에 불과하다”며 “사내유보금을 회사 내에 쌓아놓은 현금처럼 인식하고 있지만 기업이 투자를 많이 해도 사내유보금은 줄어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사내유보금 규모를 보고 해당 기업이 투자를 많이 했는지 적게 했는지 판단해서는 곤란하다”고 분석했다.

또 김 부연구위원은 기업이 투자를 안 해서 회사에 돈이 유보된다는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용어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미나에서는 사내유보금의 대안으로 창출자본, 세후 재투자자본, 사내재투자금 등이 거론됐다. 이는 외부 차입 등에 의존하지 않고 기업이 벌어서 형성된 자본으로서 투자에 활용되는 자본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는 황인태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 권성수 회계기준원 상임위원, 정우용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전무 등 학계와 재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