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장맞춤형 공학인재 양성에 나선다. 공과대학 졸업생의 전공기초 지식이 산업계 기대수준에 미달하는 등 여전히 산업 현장과 괴리된다는 지적에 따라 지난 2014년부터 진행한 공대 혁신방안을 보완하고 신규 과제를 추진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6년 공과대학 혁신방안`이 지난 29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85회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확정됐다고 밝혔다. 혁신방안은 현장 맞춤형 인재를 키우고 공학교육 리더십 확립, 기업의 공학교육 참여가 핵심이다.
우선 공대 학부생의 실전 해결 역량을 키우고자 이공학연구팀(가칭 X-Corps) 400개를 내년에 선발한다. 기업의 사업상 난제를 공대생들이 연구개발(R&D)로 해결해주는 주니어 연구팀이다.
이공계 대학이 산업계와 연계해 기업 현장 애로기술을 연구과제로 공모해 산업현장이 필요로 하는 실전문제 해결형 혁신역량을 키우겠다는 의지다. 학생들은 R&D 실무와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울 수 있다. 미래부는 내년 3∼4월 전국 대학에서 이런 연구팀을 뽑아 팀마다 연 800만∼1000만원의 R&D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공대 변화와 개혁을 자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학내 거버넌스 재정립에도 나선다. 우수 공대의 미래 신산업 창출역량을 강화한다. 공대 단위 지원 사업으로 공대의 주도적 혁신을 지원하는 차세대 공학연구자 육성사업을 추진한다.
대학주도의 공대혁신 선도모델을 발굴하고 확산하기 위해 공대혁신 선도모델을 유형화해 제시하고 타 대학들이 벤치마킹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KAIST의 창업인재양성 K스쿨, GIST의 `GIST 밸리` 기술기업 창출 등이 그 예다.
기업의 공학교육 참여를 위해 산·학·연 공학교육혁신체계도 구축한다. 기업 수요에 맞춰 인재를 매칭하고, 융합산업에 필요한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공학교육혁신센터를 지정해 운영한다. 6개 공학교육혁신거점센터 내 `산·학·연 추진단`을 활용해 원활한 기업 매칭을 수행한다.
주요 국가도 공학인재를 산업계 수요 맞춤형 교육으로 실무 엔지니어로 키워내고 있다. 미국은 기업과 대학의 주기적인 산·학 워크숍을 갖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역량을 교과과정에 반영한다. 기업은 대학 스폰서십, 학생 멘토링과 실무 강의 등으로 대학 교육에 적극 참여한다.
중국은 공대를 국가혁신 핵심주체로 강조해 탁월한 엔지니어를 양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대학은 연구 성과 실용화를 위한 다양한 산학협력을 추진한다. 칭화대는 기술사업화와 지식재산권 관리 전담조직(칭화연구원)을 운영한다. 칭화대-기업협력위원회(190여개 기업회원 참여)를 통한 기업 경영컨설팅, 기술진단 등 기술이전과 사업화지원 체계화하고 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
송혜영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