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중국발 태양광 공급과잉 온다…버텨낼 한국기업 몇 곳이나 될까?

글로벌 태양광 시장을 강제 구조조정했던 중국발 공급과잉 사태가 10년 만에 재현될 조짐이다. 고효율 등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독자적인 시장을 구축·유지해 나가는 우리 기업 전략이 요구된다.

18일 태양광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올 하반기부터 GCL·트리나솔라·진코솔라·JA솔라 등 중국 태양광 선도기업 생산능력 확장 영향으로 본격적인 공급과잉 국면에 접어들 전망이다. 이미 태양전지와 태양광모듈은 공급과잉 상황인데, 선도기업이 더 증설하고 나서면서 공급과잉 심화가 점쳐진다.

태양광 밸류체인별 생산능력 현황. [자료:한국수출입은행]
태양광 밸류체인별 생산능력 현황. [자료:한국수출입은행]

수출입은행은 올 상반기 이미 주요 제품 수급은 공급과잉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 태양광산업 밸류체인별 생산용량이 폴리실리콘(태양광모듈을 만드는 데 필요한 폴리실리콘 양으로 환산) 78GW, 웨이퍼 75GW, 태양전지 83GW, 모듈 99GW로 추정된다. 여기에 올해 태양광 수요가 68GW라는 것을 대입하면 전 밸류체인이 공급과잉 상황이고, 태양광모듈은 수요 대비 공급과잉량이 45%에 달한다.

중국 선도 업체들은 이런 상황에 아랑곳하지 않고 태양광 생산능력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트리나솔라는 현재 5GW 정도인 생산능력을 2020년까지 두 배인 10GW로 늘린다는 목표로 증설을 진행하고 있다. 수출 비중이 높은 진코솔라 역시 올해 지난해보다 1GW 늘어난 5GW까지 생산능력을 확충한다. 이 회사는 지난 2014년부터 올해까지 생산능력이 거의 3배가량 늘어난다.

JA솔라는 올해 말까지 2GW 생산능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과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 3억달러를 투자한다. 지난해 4.2GW에서 올해 6.2GW까지 껑충 뛰어오른다. 이 외에 웨이퍼업체 롱기 실리콘도 단결정 웨이퍼 생산기술 확보에 맞춰 태양전지·태양광모듈 생산에 뛰어들었고, 카나디안솔라와 리센에너지 역시 수출을 위한 해외 생산기지 확충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업체들이 생산능력 확충에 나선 배경은 태양광산업 주도권을 계속 이어가기 위한 것이다. 이미 10년 전 규모의 경제를 무기로 태양광시장을 석권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과거 구축했던 생산설비 가지고는 한국·일본 등 고효율 기술을 앞세운 업체들과의 수출 경쟁에서 밀리는 상황이 연출됐기 때문이다.

지난 5월 중국 상해에서 열린 SNEC 한화큐셀부스.
지난 5월 중국 상해에서 열린 SNEC 한화큐셀부스.

그 사례로 올 상반기 이미 공급과잉 상황이었지만, 우리나라 한화큐셀·LG전자·신성솔라에너지 등 태양광업체들은 상대적으로 넉넉한 수요를 바탕으로 호실적을 기록했다. 여기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덤핑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는 점도 유리하게 작용했다.

하지만 올 하반기부터는 중국 선도 업체들이 중국과 동남아 지역 신규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이 쏟아져 나올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우리 기업의 수출 전선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게다가 중국의 올해 태양광 설치량 목표가 상반기에 달성되면서, 내수시장에서 흡수하지 못한 물량이 수출시장으로 싸게 풀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미국과 유럽에 덤핑관세를 물고서라도 남는 물량을 공급하고 나서는 곳이 등장할 것이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두 번째 물량공세를 극복하기 위해 맞불작전과 독자 시장 확보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힌다. 중국 선도 기업과의 경쟁이 가능할 정도로 생산능력을 확충하던지, 중국 기업 제품보다 한 단계 효율이 높은 제품을 공급해 독자적인 시장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문한다. 다만 어떤 전략을 구사하더라도 최소 GW를 넘어서는 생산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태양광 중소기업들에게는 힘겨운 싸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국내 기업 중에는 중국의 2차 물량공세를 견딜 만한 체력을 갖춘 곳이 한화큐셀과 LG전자 정도라는 관측이 나온다.

태양광발전소.
태양광발전소.

강정화 수출입은행 연구원은 “중국 선도기업들이 생산능력을 늘리면 우리 기업들도 맞대응하는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태양광시장에 다시 한 번 자본금 싸움이 연출되면서 신성솔라에너지나 에스에너지 등 국내 중소기업들은 중국 공세에 견디기 힘들어질 수 있어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함봉균 에너지/환경 전문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