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차 부품 소재로 각광받는 폴리케톤 기술 관련 특허출원이 급증하는 추세다.
20일 특허청에 따르면 효성이 2013년에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폴리케톤 제조 및 제품 개발 관련 출원이 국내 기업, 연구소, 대학을 중심으로 크게 늘고 있다.
폴리케톤은 자동차 유해 배기가스 중 하나인 일산화탄소(CO)와 석유화학계 올레핀을 합성해 만든 신소재다. 기존 나일론 대비 충격 강도는 2.3배, 내화학성은 30% 이상 우수하다. 가볍고 강한 특성으로 자동차 경량화용 친환경 부품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연도별로는 2006~2013년까지 매년 10~20여건 정도에 불과했으나 2014년 105건, 2015년 109건으로 최근 2년간 급증했다.
특허를 가장 많이 출원한 기업은 효성(261건)으로, 전체의 84.5%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현대자동차가 7건을 기록했으며, 외국기업으로는 브리지스톤이 4건을 출원했다.
폴리케톤 관련 기술은 크게 △폴리케톤 제조 △물성 보완을 위한 조성물 △제품으로 나뉜다.
2008년까지는 폴리케톤 제조 관련 출원 비중이 낮았으나 2009~2012년은 폴리케톤 조성물 관련 출원 비중이 높아졌다. 효성이 상용화에 성공한 2013년 이후부터는 폴리케톤을 활용한 자동차용 엔진커버 등 제품(용도) 관련 출원이 증가해 2015년에는 출원 비중이 89%까지 높아졌다.
이는 초기 폴리케톤 제조에 연구개발 역량이 집중됐으나 상용화 성공 이후 자동차·전기전자 분야 내·외장재, 자동차용 호스(튜브), 타이어 보강용 코드, 엔진커버, 휠 커버 등에 폴리케톤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집중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좌승관 고분자섬유심사과장은 “폴리케톤은 현재 상용화된 여러 플라스틱 소재 중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양산화에 성공한 유일한 플라스틱”이라면서 “산·학·연간 효율적인 협업 관계를 구축해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지속 확보한다면 미래 국가 경쟁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단위 : 건)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