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기획]지역 기술지원센터, 핵심 특성화 분야 중심 구조조정 시급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지역 핵심 특화 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서는 기술 분야를 압축하고 특성화 분야 중심으로 테크노파크 특성화센터 등 기존의 기술지원센터를 구조조정해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김영수 산업연구원 박사는 최근 산업경제분석 자료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역의 산업기술 혁신 생태계 구축 전략`을 발표했다.

김 박사는 “우리나라가 1990년대 이후 지역의 기술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 늘려 왔다”면서 “그동안의 지역 R&D 투자는 주로 지역에 미흡한 혁신의 구성 요소를 채우는데 집중했다”고 지적했다.

혁신 구성 요소가 분산 추진돼 혁신 성과로 집약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김 박사는 지역 혁신 생태계를 지역별 특성화를 통해 지역에 착근한 연결성이 강하고 진화를 지속하는 혁신 공동체로 정의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지역혁신 정책 과제로 혁신의 각 구성 요소를 생태계 관점에서 긴밀하게 잘 연계시켜야 하며, 이 과정에서 중개 및 촉진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게 김 박사의 견해다.

지역 여건과 혁신 패턴에 맞게 특성화된 혁신 생태계를 만들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만들고, 외부 환경 및 다른 생태계와의 경쟁 속에서 진화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 공급 주도가 아닌 수요 중심 연계 체제가 필요하고, 지식과 기술의 실체인 과학 및 기술 인력의 유동화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박사는 “현재 우리나라 지역 현실은 광역시·도별로 주력 산업 5개, 지역 간 협력 산업이 3개씩 각각 선정돼 있는 데다 정부가 규제프리존 도입과 연계해 지역전략 산업을 2개씩 추가 선정하는 등 지역 타깃 산업이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지역 내 산업기술지원센터가 다양한 분야로 분산돼 있고 각 기술센터의 규모가 작아 연구개발(R&D) 활동의 임계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세부 정책 과제로 지역의 핵심 특화 산업 또는 특성화 기술 분야를 2~3개로 압축하고, 핵심 특성화 분야 중심으로 기존의 기술지원센터를 구조조정함으로써 지역 특성화센터 등 기술센터의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지역의 핵심 특성화 분야로 통합된 지역기술센터는 공용장비 중심 지원에서 벗어나 기업의 계약 연구 수행을 중심 기능으로 삼아야 할 것을 발전 방안으로 제시했다.

김 박사는 “정부가 최근 지역산업의 중복성 방지를 위해 아이템을 쪼갰는데 이는 요즘 산업이 융합산업으로 발전하는 상황에서는 아무 의미가 없다”면서 “산업 기술 부분을 넓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그는 “특화된 기술 분야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 기관만이 아닌 전국 기업이 함께 활용, 전국 최고 센터가 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