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리뷰┃‘그물’] ‘광장’을 향해 떠날 수밖에 없는 물고기의 ‘현실’

출처 : '그물' 포스터
출처 : '그물' 포스터

[엔터온뉴스 이주희 기자] 그물에 잡힌 물고기는 자유롭지 못하다. ‘국가’라는 ‘그물’은 자유를 향해 나아가려는 국민들을 가둔다. 북한만을 칭하는 것이 아니다. 남북한 가릴 것 없이 국가는 자유를 빼앗는다. 김기덕 감독은 남북한 서로를 사상도, 인류애도 아닌 인간 대 인간으로 바라보자고 한다.

영화 ‘그물’은 그물에 걸려 어쩔 수 없이 남북의 경계선을 넘게 된 북한 어부 철우(류승범 분)가 북에 있는 가족에게 돌아가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철우가 지키고 싶어 하는 것은 10년을 노동하며 얻은 한 척의 작은 배, 사랑하는 아내와 딸뿐이다. 하지만 그의 배가, 그리고 그의 인생이 우연히 사상 싸움하는 남북이라는 그물에 걸렸고, 그는 포획 당한다.



남한에 오게 된 철우가 가장 먼저 한 일은 눈을 감는 것이었다. 북한에 돌아갔을 때, 남한에 대해 아는 것이 없어야 말할 것도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철우는 남한에 전혀 관심 없지만, 남측 정보원은 철우를 간첩으로 몰아가기 시작한다.

사람을 바꾸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직접적인 폭력이고, 또 하나는 회유해서 정신 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남측의 정보원은 첫 번째 방법부터 시행한다. 조사관(김영민 분)은 철우가 간첩이라는 증거가 없음에도 ‘잠재적 간첩’이라는 억지를 써가며 간첩을 만들어내기 위해 안달이다. 가짜 중국 서류는 물론, 고문까지 자행한다.

또 다른 인물은 직접적으로 나서지는 않지만 철우를 전향시키기 위해 무리한 일을 감행한다. 그가 철우를 전향시키려는 이유는 철우를 위한 것이라 말한다. 철우는 세뇌 당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며, 그를 독재 국가에 돌려보낼 수 없다는 게 그 이유다. 그는 자신의 생각에 갇혀서 자신이 북한 사람들을 구원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남한은 자유국가라면서 개인 의견을 묵살하며 물리적ㆍ정신적 폭력을 가한다. 감독은 상대방을 볼 때, ‘나’의 시선이 아닌 ‘너’의 시선으로 봐야함을 역설한다.

자본주의를 보여주기 위해 남측은 철우를 명동에 풀어놓는다. 하지만 철우는 ‘자유’의 나라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돈의 포로가 되어 있는 사람들을 발견한다. 철우는 자유가 행복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한편으로는 북한에 있는 딸을 위해 곰인형을 갖고 싶어 하는 딜레마를 갖게 된다. 물론 철우가 자본주의에 빠진 것이 아니라 그저 가족에 대한 애정일 뿐이다.

남한은 북한을 지옥 같은 독재 국가라 하고, 북한은 남한을 썩은 자본주의 국가라고 한다. 양쪽의 지독함을 겪은 철우는 사상과 서로를 겨냥한 것이 얼마나 쓸데없는 일임을 알게 된다. 그는 북한에 돌아와서 특별 감시 대상이 되고, 생업인 어업을 금지 당한다. 이로써 그에게 남과 북은 모두 환멸의 대상이 된다.

출처 : '그물' 스틸
출처 : '그물' 스틸

결국 그는 다시 배를 타러 나간다. 최인훈 작가의 소설 ‘광장’에서 주인공이 어떤 회유에도 ‘중립국’을 선택한 것과 비슷한 선택이다. 어떤 것도 선택할 수 없는 환경에 갇힌 철우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었다.

이런 내용은 김기덕 감독이 제작한 작품이자 사상이 아닌 자유와 가족애, 인간성에 대해 고민했던 영화 ‘붉은 가족’보다 한 발짝 더 나아간 부분이다. ‘붉은 가족’에 등장하는 북한 공작원들은 자본주의를 꼬집으면서도 남한에게 자유가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부러워하지만, ‘그물’은 그 누구의 편도 들지 않는다.

다만 감독은 이 작품에서 하고 싶은 말이 많았던 모양이다. 이번 작품에서 감독은 진우(이원근 분)의 입을 빌어 하고자 하는 말을 전하는데, 이전 작품보다 그는 더욱 직접적이고 강하게 이야기 한다. 철우를 경호하는 임무를 맡은 진우는 철우에게 그 어떤 것도 요구하지 않고, 그저 철우가 가족의 품에 돌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너의’ 시선으로 상대방을 바라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원근이 맡은 남한측 캐릭터는 감정 과잉으로 보일 수도 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그는 너무 화를 내고 눈물을 흘린다. 물론 진우 캐릭터를 이야기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상징적인 요소들처럼 바라볼 수도 있고, 할아버지가 실향민이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말단 경호원이 상관에게 반발하는 모습은 현실에서 일어나기 힘든 일이다. 충분히 현실적인 이야기에 너무나 상징적인 캐릭터와 너무 친절한 대사는 영화 전체를 우화처럼 만든다. 때문에 ‘그물’과 똑같은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자 오는 13일 개봉할 다큐멘터리 ‘자백’이 더 마음에 와닿는다. 김기춘과 원세훈의 모습을 그대로 담은 ‘자백’은 ‘그물’보다 깔끔하면서도 더 심도 깊은 이야기를 전한다. ‘그물’은 6일 개봉한다.

전자신문 엔터온뉴스 이주희 기자 leejh@entero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