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밸리, 확 뜯어 고친다… 지원시설 확대+특화산업단지 등 법적 효력 갖춰

G밸리 전경
G밸리 전경

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 전면 개조 작업이 시작된다. 부족했던 지원시설을 늘리고 난립했던 입주 기업을 재배치해 특화산업단지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최근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개발계획 변경과 실시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2012년 7월 정부 주도로 개발계획은 수립됐으나 실시계획은 만들지 않았다. 시는 이달 말까지 사업자 신청을 받고 내달 계약을 마무리한다. 사업비는 총 11억원이다.

용역결과는 늦어도 2018년 6월 도출되며 서울시는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형도면 고시까지 마무리한다.

서울시는 G밸리 경쟁력을 강화할 도시계획 관리 틀 마련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서울시는 G밸리가 산업단지 전체를 포괄하는 체계 없이 필지별로 건축법 적용을 받아 난개발 문제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생산성 하락과 지원시설 부족, 임대사업자 증가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번 용역은 종합 실시계획이다. 시행령에 고시 형태로 명시돼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 도로와 배수, 상수도, 조경까지 모두 다시 재배치한다.

G밸리 재개발 프로젝트 핵심은 지원시설 용지 비율 확대다.

현재 G밸리 내 지원시설 용지 비율은 약 9.8%에 불과하다.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24.5%)와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21.8%) 등 최근 들어선 산단에 비해 턱 없이 부족하다. G밸리 지원시설에는 도로를 비롯해 아웃렛 매장도 포함돼 있어 체감 비율은 더 떨어진다.

서울시는 지원시설 부족에 따른 경쟁력 저하를 막기 위해 주거·문화·복지·여가 시설을 늘릴 계획이다. 절대적으로 부족한 공원녹지도 추가 확보한다. 단지 여건상 대규모 녹지를 새로 조성하기보다 기존 시설이나 하천변 공간을 활용한다. 낙후된 가리봉 지역을 재생하고 주변 대규모 부지도 개발한다. 도로여건 개선을 위해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방안도 포함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G밸리 특화 산업과 업종을 지정하고, 미니 특화산업단지를 클러스터화하는 방식을 검토 중이다. G밸리 내 유치 업종을 재검토하고 입주 기업도 재배치할 계획이다. 일부 업종은 제한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2009년 11월 산업단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G밸리 개발계획 변경과 실시계획 승인 권한이 서울시장에게로 넘어왔다”면서 “G밸리 관리체계를 새롭게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유창선 성장기업부(구로/성수/인천) 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