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바라보는 병원, 내년 최초 사례 나올까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클라우드 도입에 부정적이었던 병원이 변하고 있다. 운영 효율성, 보안 강화는 물론 최근 대두된 정밀의료 대응을 위해 클라우드 도입을 검토한다. 정부가 의료 클라우드 적용 확산을 강하게 추진하면서 내년에는 최초 구축 사례도 기대된다.

20일 병원 업계에 따르면 2, 3차 종합병원과 공공의료기관 중심으로 클라우드 도입 검토가 확산된다. 제도개선, 정부 주도 클라우드 프로젝트 착수, 솔루션 개발 등 여건이 개선되며 병원 움직임도 빨라진다. 기존 시스템을 재편하는 대규모 예산이 필요한데다 구축 경험이 부족해 정부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현재 클라우드 도입을 검토하는 2, 3차 병원은 20여곳으로 추정된다. 서울대병원, 부산대병원 등 국립대학병원을 포함해 가천대 길병원 등 새롭게 시스템을 구축하는 병원도 클라우드에 관심을 기울인다.

컴퓨팅 자원을 빌려 쓰는 클라우드는 비용효율성, 보안성 면에서 장점이 있다. 클라우드 확산에 총력을 기울이는 정부도 의료, 금융, 교육 세 곳을 중점 확산 영역으로 설정했다. 민간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관 특성상 클라우드 도입에 가장 보수적이다.

최근 대형병원은 클라우드 도입에 적극적이다. 구체적 도입 계획을 세우지 않았지만, 이를 염두에 둔 컨설팅과 관련 기업 미팅, 정부 지원 요청에 분주하다.

부산대병원 등 차세대시스템 구축 사업을 앞둔 종합병원은 클라우드 도입에 따른 실효성을 검토한다. 정부가 추진하는 클라우드 구축 시범사업이나 클라우드 전자의무기록(EMR) 개발 현황도 파악 중이다. 수도권 대형병원은 현실가능성이 높은 재해복구(DR)센터 클라우드 전환을 검토한다.

국군의무사령부도 의료분야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빅데이터 핵심 인프라가 클라우드인 만큼 적용 논의도 병행한다.

가천대 길병원 관계자는 “2018년 말 구축 완료 예정인 차세대 통합 병원정보시스템(HIS) 구축 사업에 클라우드 적용 논의도 가능할 전망”이라며 “도입을 확정하지는 않았지만 클라우드가 의료 영역에서도 큰 흐름인 만큼 사업자와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보수적이던 병원이 클라우드 도입에 적극적인 것은 환경 변화 때문이다. 정부는 8월 `전자의무기록 관리·보존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에 관한 기준` 고시를 제정해 의료기록을 클라우드 등 외부에서도 저장할 수 있게 허용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를 근거로 내년부터 의료 분야 클라우드 선도 사업을 진행한다. KT가 사업수행에 필수인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받으면서 실행 가능성을 높였다. 공공의료기관 대상으로 시범구축 대상을 발굴, 내년 첫 의료 클라우드 적용 사례를 만들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올해 초 정부가 의료, 금융, 교육 세 분야를 클라우드 중점 적용 분야로 설정, 선도 사업을 한다”면서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받은 기업까지 생기면서 적용 기관을 발굴해 내년에 첫 구축 사례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분당서울대병원과 헬스케어혁신파크 전경(자료화면)
분당서울대병원과 헬스케어혁신파크 전경(자료화면)

병원 경영악화, 최신 의료 트렌드 부상도 클라우드 전환에 한몫한다. 임상, 사물인터넷(IoT), 유전체 데이터 등을 합쳐 맞춤형 치료를 구현하는 정밀의료도 클라우드 구축이 유리하다. 다른 경로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 관리, 분석하기 위해서다.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추진 중인 `차세대 의료정보 플랫폼 구축` 사업도 클라우드 전자의무기록(EMR)이 핵심이다.

황희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클라우드 EMR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의료정보 플랫폼 수요조사 결과 전국 20여개 병원이 도입 의사를 보였다”면서 “정밀의료 구현을 위해 클라우드 환경이 중요해지면서, 내년 클라우드 도입은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