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 기후변화 대응 기후스마트농업

[ET단상] 기후변화 대응 기후스마트농업

지난달 페루 리마에서 각국 정상들이 모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가졌다.

정상회의 결과로 채택하는 결의문에는 회의 내용을 추리고 추린 핵심 과제를 담는다. 여기에 기후변화와 관련해 식량 및 물 문제에 관한 대응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 명시됐다.

각국 정상들이 소수 핵심 과제의 하나로 꼽을 만큼 현재 식량 문제는 중요하다.

지난 60년 동안 세계의 식량 생산은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식량 생산 증대를 위한 품종 개량 등 많은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런데 앞으로 2050년까지 식량 생산은 지금보다 50% 이상 추가로 늘어나야 한다. 그때가 되면 세계 인구가 90억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기후변화는 식량 문제 해결에서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이다.

농업은 안정된 물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뭄이나 호우·홍수 등 기상 이변이 더 자주, 더 심하게 발생하는 추세가 뚜렷해지면서 식량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기온이 올라가고 강수 패턴이 바뀌면서 지역별로 적합한 품종이 바뀌고, 병충해 빈발 양상도 변하고 있다.

토양 조건이나 노동력에 의존하는 기존의 재래식 농경은 한계에 와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5년 국내 곡물자급률(사료용 포함)은 23.8%에 불과하다. 필요한 양의 4분 3을 미주 등지에서 수입한다. 앞으로 라니냐의 발생으로 동태평양 해수면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미주 지역 농작물 수확량이 감소한다면 국내 식탁 물가도 출렁일 수밖에 없다.

기후변화에 의한 전 세계 식량안보 위협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첫째 최첨단 과학 기술을 활용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식의 기후스마트 농업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기후스마트농업은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급변하는 기후 패턴 및 병충해 등 외부 충격에 대한 취약성을 줄여 준다.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농경지, 가축, 산림 등 자원 체계를 종합 관리해 접근하는 농경법이다.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긍정·부정 요소를 분석하고 온난화에 따른 지역 특성 변화에 적합한 작물 선택, 병충해 방제 등에 기후 정보를 적극 활용하는 농업이라 할 수 있다.

APEC기후센터는 최근 필리핀에서 중장기 기후 정보를 이용해 병충해를 예상하고, 비용 대비 효과 높은 방제 방향을 제시하는 시범 사업을 시작했다. 기후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의 달라진 기후와 풍토에 적합한 품종을 발굴, 해당 지역의 작물 생산량을 높이는 사업도 남태평양 통가에서 진행하고 있다.

둘째 농업 정책 담당자와 기후·농업·경제 등 관련 전문가, 농업인이 모여 농업 현장의 실제 수요와 실정을 제대로 반영한 관련 정책 및 기술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현재 활용 가능한 기술과 역량을 파악, 농업 현장 수요에 가장 적합한 기후스마트농업 방안을 도출하자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APEC기후센터는 `2016년 APEC 기후 심포지엄`을 지난 9월 페루 피우라에서 `스마트 기후 정보 활용을 통한 지속 가능한 식량 안보 확보`를 주제로 개최했다. 사흘 동안 계속된 심포지엄 내내 참가자들은 좌석을 가득 메웠고, 활발하게 토론을 벌였다. 기후변화와 식량 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과 뜨거운 열기를 실감했다.

마지막으로 국내 곡물 자급률을 높이는 동시에 해외 농업 개발 사업을 추진, 곡물의 안정 공급처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가 개발하고 있는 기후스마트농업 방식과 기술을 개발도상국이 현지화할 수 있도록 해외 원조 사업을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

정홍상 APEC기후센터 소장 hsjung2@apcc21.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