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덟 번째 수립되는 국가전력수급계획의 주인공은 신재생에너지가 될 전망이다. 적정 예비율은 7차 계획과 유사하거나 조금 높아질 수 있고, 신기후체제 대응 내용을 처음으로 담게 된다.
1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31년까지 국가 전원믹스(Mix)를 결정하는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다수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계획을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전력업계 한 관계자는 “전력정책심의회에서 전원계획에 경제성과 함께 안전과 환경요인을 담아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8차전력계획, 신재생이 중심…기후변화 대응 첫 반영될듯](https://img.etnews.com/photonews/1701/907199_20161229130223_648_0001.jpg)
8차 전력계획은 앞서 7차계획까지와는 수립 여건이 많이 다르다는 특징을 안고 있다. 지금까지 계획은 국가 경제성장률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는 원전·석탄·LNG 전원별 발전소 건설 계획을 짜는 것이 핵심이었다.
하지만 8차계획부터는 발전소 추가 증설 여부부터 국가 전력수요 감소 방안, 친환경 에너지 전환 등이 담겨야 한다.
우선 지난해 조기 발효된 신기후체제 대응 방안을 반영해야 한다. 기후변화 대응책이 처음으로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되는 셈이다. 이미 정부는 지난해 미세먼지 대책을 통해 신규 석탄화력 계획을 더 이상 승인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8차계획에선 7차 계획때와 마찬가지로 석탄화력을 제외되고, 일부 설비 추가폐지 계획도 담게된다.
신규 발전소 증설에 대해선 의견이 갈리고 있다. 전력정책심의회 민간전문가들은 현재 예비율과 수요관리 등을 언급하며 발전소 추가 증설에 대해선 신중하게 접근해야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정부는 현재 예비율에 여유가 있더라도 발전소 추가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석탄발전 폐기와 대규모 리모델링 등으로 빠지는 만큼 이를 LNG발전 등 대체할 시설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적정예비율 상승 가능성도 나온다. 7차 전력계획에서 적정예비율은 실질예비율 15%에 불확실성 예비율 7%로 총 22% 수준이다. 반면, 8차에서는 석탄 대신 LNG와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늘어나는 만큼 불확실성 예비율의 폭이 늘어나야 한다는 의견이지배적이다. 석탄대비 LNG는 고장과 유지보수가 잦고 신재생에너지는 전기생산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기후변화와 탈석탄 기조와 함께 7차 전력계획 수준의 적정예비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수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8차 전력계획에 담겨야 되는 상황이다.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성격도 담아야 한다. 최근 에너지신산업 육성으로 신재생에너지산업 여건이 많이 달라졌지만, 5년 주기로 짜이는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은 차기계획이 2019년에나 나올 예정인 만큼 지금 여건을 담은 신재생에너지 로드맵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8차계획은 신재생 확대와 함께 수요관리 감축 등도 포함될 예정”이라며 “지금까지와는 달리 증설보다는 수급조절과 에너지 전환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