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동안 여러 정책 개선했지만 조류인플루엔자(AI) 전문가가 한 명도 없다. 긴급백신과 과학기술 도입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책과 과학기술이 손잡아야 한다.”
송창선 건국대 수의과대학 교수는 4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조류인플루엔자 방역을 위한 과학기술을?`이라는 주제로 서울상공회의소에서 연 제11회 국민안전기술포럼에서 이 같이 말했다.
송 교수는 “AI는 총 6번 발생했고 패턴은 똑같이 반복됐다”면서 “정부 정책은 이동 제한과 예방적 살처분인데 과연 이 2가지 정책이 최선의 대안인지 생각해 봐야한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에 AI가 최초 발생했고 이후 현재까지 총 6번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했다.
송 교수는 “오리 농가에 아무나 다 들어가는 등 영세 농가의 차단방역 수준이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AI 발생 후에도 현장 진단 키트의 낮은 민감도, 발생 농가 주변 예찰 인프라 부족, 축산 차량 관리 미흡, 소독제와 소독 시설 효능 평가가 전무해 대응이 잘 안 된다고 강조했다.
AI는 고(高)병원성, 약(弱)병원성, 비(非)병원성 3종류로 구분되는데 이 중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중국 야생조류의 이동으로 발생해 고도의 방역기술이 요구된다. AI가 발생하면 살처분할 매몰지가 부족하고, 적절한 방역 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살처분을 위한 전문인력 확보와 효율적인 매몰방식 등 대책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송 교수는 “일본은 AI 판정 12시간 만에 일반군이 아닌 생물학전 대테러전 군인인 자위대가 투입된다”면서 “가금류 살처분 피해 규모는 2300억원에 달하고 인간 전염 가능성, 심리적 불안감 등 간접적인 국민피해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그는 농림축산부가 아닌 총리실에서 대응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는 “철새가 국내 AI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철새는 관리가 쉽지 않기 때문에, 예찰을 표준화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사전 예방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한 매뉴얼은 필수다”면서 “매뉴얼을 실제화하기 위한 기술적, 정책적 준비와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포럼에는 이상천 NST 이사장을 비롯해 박용곤 한국식품연구원 원장, 이혜정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하재호 세계김치연구소 소장, 임태훈 KIST 부원장 등 총 200여명이 참석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
송혜영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