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영 UNIST 교수팀, 나노 다공성 물질 합성 기술 개발

최원영 UNIST 자연과학부 교수.
최원영 UNIST 자연과학부 교수.

최원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이 나노 다공성 물질의 내부 구조를 쉽게 설계할 수 있는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MOF) 합성 기술`을 개발했다. 촉매나 기체 저장, 약물 전달 등에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공성 물질은 표면적이 넓어 화학반응을 촉진하기 때문에 촉매나 기체 포집물질 등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제올라이트`처럼 자연계에서 얻은 다공성 물질은 구멍 크기와 모양을 조절할 수 없었다.

나노 다공성 물질 설계 기술 개발에 성공한 최원영 교수팀(왼쪽부터 최 교수, 이지영 연구원, 곽자훈 교수)
나노 다공성 물질 설계 기술 개발에 성공한 최원영 교수팀(왼쪽부터 최 교수, 이지영 연구원, 곽자훈 교수)

최 교수팀은 유기분자와 금속을 이용해 인공적 다공성 물질인 `금속-유기 골격체(MOFs)`와 `금속-유기 다면체(MOPs)` 제조에 성공했다. MOPs는 용매에 잘 녹고 MOFs는 잘 녹지 않는 성질을 띤다. 이 두 물질을 적절히 조합하면 원하는 기능의 다공성 물질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다공성 물질의 내부 구조를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한 것은 이번에 처음이다.

최 교수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2나노미터(㎚) 미만의 미세기공과 2~50㎚의 메조기공, 50㎚보다 큰 거대기공을 모두 갖춘 새로운 다공성 물질을 만들었다. 이러한 계층적 다공성 구조는 화학반응의 촉매, 흡착, 분리 등에서 새로운 기능을 발휘한다.

다양한 형태의 다공성 물질 합성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다양한 형태의 다공성 물질 합성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최 교수는 “하나의 결정에 성질이 다른 물질을 공존시켜 용도에 맞는 다공성 물질을 설계하고 성능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이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서 “나노입자 기반의 이종 물질 합 등 나노 신물질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말했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